클라우드 엣지컴퓨팅 SW 플랫폼 등 첨단 기술 공개 

AI를 활용한 얼굴인식 및 위조얼굴 판별 기술 [사진=ETRI]
AI를 활용한 얼굴인식 및 위조얼굴 판별 기술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하는 ‘2023 한국전자전(KES)’에 부스를 마련하고 첨단 기술을 일반에 공개한다고 전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ETRI는 ▲클라우드 엣지 컴퓨팅 소프트웨어(SW) 플랫폼기술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얼굴인식 기술 ▲파장당 50Gbps 모바일 프론트홀 전송기술 ▲질화갈륨 반도체 기술 ▲중·저품질 디지털휴먼 실시간 실감화기술 ▲플렌옵틱 현미경 기술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AI컴퓨팅 연구분야로 소개되는 클라우드 엣지컴퓨팅 SW플랫폼 기술은 구글이나 아마존 등과 같은 클라우드와 5G MEC 등 엣지컴퓨팅 인프라를 연결해 대규모 확장성을 갖춘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엣지-단말간 서비스 분산 협업으로 지능형 서비스의 응답속도를 보장받을 수 있어 CCTV 기반 차량 분석·추적을 위한 스마트 시티 솔루션이나 실시간 공항 혼잡도 분석과 같은 스마트공항 솔루션에 활용될 수 있다.

AI를 이용한 얼굴인식과 위조얼굴 판별기술도 전시된다. 이 기술은 마스크나 모자, 선글라스 등 다양한 가려짐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AI를 통해 신원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중·저품질 디지털휴먼 실시간 실감화 기술 결과물. 좌측이 원본, 우측이 개선된 결과물이다. [사진=ETRI]
중·저품질 디지털휴먼 실시간 실감화 기술 결과물. 좌측이 원본, 우측이 개선된 결과물이다. [사진=ETRI]

사진이나 동영상, 가면 등으로 위조된 얼굴까지도 판별이 가능해 지능형서비스 로봇, AIoT, CCTV, 자동차, 휴대기기 등 신원인식 기능이 포함된 장치나 출입관리, 범죄자 얼굴검색, 출석관리, VIP 고객관리, 무인판매점, 은행업무, 고객선호 분석, 졸음감지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입체통신 연구분야에서는 파장당 50Gbps 모바일 프론트홀 전송기술과 질화갈륨 반도체 기술을 공개한다.

프론트홀 전송기술은 대용량 5G+/6G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기지국 고도화를 위해 프론트홀 용량 확장 수요를 충족시키고 프론트홀 전송효율과 오픈랜 프론트홀에 대비하는 50Gbps급 프론트홀 전송 기술로, 5G+/6G 이동통신 프론트홀 장비·부품 분야나 5G+/6G 이동통신 미드홀·백홀 장비·부품 분야에 활용이 기대된다.

질화갈륨(GaN) 반도체 기술은 실리콘(Si)이 아닌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질화갈륨 기반의 반도체 전자소자 제작 공정과 이를 활용한 집적회로 기술로, 5G/6G 이동통신 기지국용 전력증폭기·저잡음 증폭기나 군수/민수 레이더용 전력증폭기·저잡음 증폭기로 활용돼 차세대 이동통신 구현에 유용하다.

초실감메타버스 연구분야에서는 중·저품질 디지털휴먼 실시간 실감화 기술이 공개된다. 움직임이나 표정이 어색한 중/저품질 수준의 디지털휴먼 영상을 생성AI 기술을 이용해 실제 사람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술로 가상 판매원, 상담원과 같이 신뢰감이 중요한 분야에서 비용효율적인 서비스를 구현하게 한다.

ETRI 연구진이 플렌옵틱 검사장비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ETRI]
ETRI 연구진이 플렌옵틱 검사장비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ETRI]

홀로그래피 기술분야에서도 플렌옵틱 현미경 기술 등을 전시한다. 하나의 영상카메라에서 겹눈형태의 마이크로렌즈어레이를 이용해 마이크로에서 마크로(Micro-Meso-Macro)에 이르는 물체나 장면의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 등을 3차원으로 검사하거나 피부질환 등 의료분야에서 3차원 정밀검사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ETRI는 중소기업의 지원을 위해 필요한 ICT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서비스와 차세대 ICT 통신융합 지원서비스도 함께 소개한다.

ICT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 서비스는 ETRI가 보유한 장비, 시험시설 등을 중소기업 등이 공동 활용할 수 있게 해 ICT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ETRI는 보유한 ICT 특화 연구장비를 집적화하고, 5G 등 신기술 대응 분야로 확대·구축해 중소기업 등에 개방해 연구장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