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10일 국내 최초로 자사의 5G 백본에 400Gbps급 유선망을 상용 도입한다고 전했다.
현재 백본에 쓰이는 대용량 유선망은 100Gbps단위로 트래픽을 전송하지만 이번에 도입하는 초 대용량 유선망은 400Gbps 단위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대용량의 통신 데이터 트래픽이 요구되는 서비스 증가 및 추후 진행될 5G 고도화와 6G 상용화에 따른 통신망 증설을 대비해 이번 400Gbps급 유선망 도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400Gbps급 유선망 도입을 통해 백본을 연결하는 유선망의 수를 줄여 네트워크 관리 효율을 높이고 고장·장애 발생에도 기민하게 대처가능한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신기술 도입으로 백본 연결을 위한 소비에너지 절감과 장비 설치 공간 절감, 선로 공사 축소로 인한 탄소발생 절감 등 ESG 측면의 성과도 기대했다. 현재 성수-보라매 백본 구간에 신기술 적용이 완료된 상태며 향후 테스트 및 모니터링을 통해 전국 백본 구간에 400Gbps급 유선망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종훈 SK텔레콤 인프라 엔지니어링 담당(부사장)은 “초 대용량 백본망 도입을 통해 5G 상용화 이후 늘어난 트래픽과 추후 5G 고도화 및 6G 상용화에 따른 대용량 트래픽 발생까지 대비할 수 있게 됐다”며, “지속적인 네트워크 고도화를 통해 최상급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통신3사, 아이폰15 예약판매 돌입…20대 타깃 가입자 유치경쟁 본격화
- SKT ‘엑스칼리버’, 日 시장 진출…애니콤과 파트너십 체결
- SKT 유영상 “AI 관련 투자 3배 확대, 글로벌 AI 기업 도약할 것”
- KT클라우드, 엡실론과 제휴…글로벌 IDC 커넥티비티 서비스 확대
- 6G 시대, 2년 앞당긴다…과기정통부, “2026년 프리6G 시연”
- KT클라우드·HPE, IDC 통합 인프라 사업 협력
- “생성AI의 확장, HW/SW 통합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부상 주목해야”
- LGU+, PQC 적용한 광전송장비 도입…“네트워크 보안·안정성 확보”
- KT, 네트워크 트래픽 진단 솔루션 ‘DX 케어’ 개발
- LG전자, “산·학·연 파트너와 통신기술 주도권 선점”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