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참여 드림팀 컨소시엄, 지자체와 UAM 추진 맞
2025년 국내 UAM 상용화 실현 

(왼쪽부터)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김태흠 충청남도지사,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 이장우 대전광역시장,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 김공덕 한국공항공사 청주공항장이 25일 세종시 지방자치회관에서 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왼쪽부터)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김태흠 충청남도지사,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 이장우 대전광역시장,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 김공덕 한국공항공사 청주공항장이 25일 세종시 지방자치회관에서 협약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세종, 대전, 충북, 충남을 아우르는 충청권 지자체와 UAM 사업 추진에 나선다.

26일 SK텔레콤에 따르면, 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티맵모빌리티와 함께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세종특별자치시·대전광역시·충청북도·충청남도과 충청권 초광역 UAM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충청권 UAM 사업 추진을 위해 드림팀 컨소시엄과 충청권 지자체는 충청지역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초광역형 UAM 노선을 발굴하고, 서비스를 개발할 방침이다.

또 UAM을 교통수단뿐만 아니라 응급 의료, 공공 서비스, 화물 운송, 관광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범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충청지역의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충청지역 기반 기업들과의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해 UAM이 충청지역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공동 기술 개발과 인력양성 등에 대해서도 서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AI 기반 종합적인 UAM 서비스 운영, UAM 전용 상공 통신망 구축, 기체 도입을 맡는다. 한국공항공사는 UAM 버티포트 구축, 항행시설 인프라를 활용한 UAM 교통관리서비스 제공 등을 담당한다.

한화시스템은 UAM 기체개발·운영·제조·유지보수(MRO)와 UAM 교통관리 솔루션 공급·서비스를, 티맵모빌리티는 UAM과 지상교통을 연계한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 플랫폼 개발·운영 역할을 각각 맡게 된다.

충청권 지자체는 UAM 운용부지와 시설 등 인프라를 확보하고 인허가 등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 지원에 나선다. UAM과 지상 교통수단을 연계하고, 지역 사회의 수용성 확보에도 힘쓸 계획이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UAM은 도심 내 교통체증 해소를 넘어 인접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형 모빌리티로도 주목받고 있다”며 “안전한 UAM 서비스와 AI 기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교통의 중추인 중부권에서 광역형 UAM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9월 제주도, 10월 대구시, 올해 5월 경상남도와 UAM 사업협력을 발표하면서 지자체와의 협력을 강화한 드림팀 컨소시엄은 이번 세종·대전·충북·충남을 포함한 범충청권 지자체와도 협력 체계를 구축을 통해 국내 UAM 상용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