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기체 스타트업 플라나(PLANA)와 통신 기반 UAM 데이터 전송 공동연구를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력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플라나는 국내 유일 하이브리드 기반의 수직이착륙(VTOL) 전기 추진 항공기 개발 스타트업이다. 플라나가 개발한 기체는 차세대 항공연료인 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이용하면서 기존 헬리콥터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을 80% 이상 저감할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이날 경기도 이천 소재 플라나 R&D센터에서 열린 협약식은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Lab장(담당)과 김재형 플라나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UAM 교통관리 플랫폼과 기체 간의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하고 ▲UAM 교통관리 플랫폼과 연동한 실증 운항 데이터를 확보할 계획이다.
우선 양사는 항공용 통신 기술을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확보하고 항공 전자장비와 교통관리플랫폼 간 실시간 항적, 기체 상태 및 기상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UAM 교통관리 플랫폼을 활용해 회랑 내 교통관리나 충돌 회피 등 도심항공교통 관리 역량을 검증하는 동시에 기체의 비행 데이터와 고고도 5G/LTE 커버리지 데이터 등 실증 운항 데이터도 확보한다는 목표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5월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등 영역별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정부 실증사업(K-UAM 그랜드챌린지)에 참여하고 있다.
정부 실증사업 참여에 앞서 UAM 교통관리 플랫폼을 개발 추진에 앞서, 양사 간 이번 협약을 통해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하고 기체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기술 완성도가 높아질 것으로 사측은 기대했다.
전영서 LG유플러스 담당은 “플라나와의 협력은 UAM 생태계 발전에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존 항공기에서 볼 수 없었던 통신을 UAM 기체에 접목함으로써 안전성과 편리성 모두 극대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형 플라나 대표는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플라나가 개발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이착륙 전기 추진 항공기가 미래 UAM 산업 시장을 선도함에 있어, 이번 LG유플러스와의 공동 연구가 의의가 있는 마일스톤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T, “UAM으로 부산엑스포 유치 전방위 지원”
- 국토부,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 출범…건축물에 첨단기술 적용
- LGU+, 서울교통공사와 UAM 복합환승센터 조성 ‘맞손’
- 보잉코리아, 상용기·우주비행체용 리눅스 플랫폼 개발
- SK, ‘CES 2023’ 참전…파트너사와 40여개 친환경 기술·제품 공개
- 국토부, 항행안전시설 국제 세미나…위성기술 동향 공유
- 파블로항공, GS칼텍스와 모빌리티 사업 협력…MOU 체결
- 웨이브, 티맵모빌리티와 ‘맞손’…차량 내 OTT서비스 개발 추진
- KT, 교통안전공단과 모빌리티 혁신 협력…EV·UAM 기술·신사업 ‘맞손’
- 모라이, ‘커머셜 UAV 엑스포’ 참전…모라이 심 에어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