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PASS 모바일신분증 검증 서비스 출시
최근 미성년자 위조 신분증에 속아 주류를 팔다 영업정지를 받는 소상공인·영업점주의 피해사례가 늘어난 가운데 영업점주가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도 패스(PASS) 앱을 통해 방문 고객의 성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효력을 인정받은 PASS 모바일신분증의 QR코드 식별을 통해 성인 인증과 신분증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PASS 모바일신분증 검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영업점주가 PASS 앱에 있는 QR인증 메뉴를 통해 영업점을 찾은 고객의 스마트폰 PASS 앱 내에 있는 모바일신분증의 QR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영업점주와 고객의 스마트폰에 PASS 앱이 설치돼 있으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점주 입장에서는 QR코드 스캔만으로 신분증 위변조로 인한 법적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청소년보호법에 의거한 성인 여부를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고객은 한 번만 등록하면 별도 신분증 구비없이 쉽게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통신3사는 22일부터 젊은 층들이 많이 방문하는 주요 지역(홍대, 강남 등)에서 주류 등 청소년유해약물로부터 미성년자를 보호하고 소상공인을 독려하는 오프라인 캠페인도 진행한다.
이외에도 PASS 모바일신분증 검증 서비스를 이용하는 점주 대상으로 매장에 도움이 되는 배너 및 광고판 등 ‘PASS 모바일신분증 키트’를 무상으로 제공한다.
통신3사는 “PASS 모바일신분증이 검증 기능까지 갖추게 되면서 신분 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더 활발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통해 지갑이 필요 없는 생활 속 필수 앱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5G 28GHz 주파수 할당 신청 접수…제4 통신기업 등장 여부 ‘주목’
- 통신3사, “PASS모바일운전면허증, 금융·공공·의료분야서 신분증으로 쓴다”
- 통신3사, 피싱·스미싱 예방 지원…기업메시징 ‘브랜드 등록 지원센터’ 운영
- 정부 최상위 디지털 플랫폼, ‘DPG허브’ 설계 착수
- LGU+, 기업 솔루션 포털 ‘U+비즈마켓’에 챗GPT 도입
- 넥스원소프트, 파주시 에너지 지원금 시스템에 통합인증 서비스 공급
- “CSAP 개선, 공공 클라우드의 민간 SaaS 도입 계기돼야”
- 펜타시큐리티, 간편인증·다중인증 솔루션 출시
- BGF리테일, 편의점 CU에 ‘무인 환전 키오스크’ 도입
- 제주-우도 구간 해저 광케이블 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