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SAT, 스타링크 도입 추진
KT SAT가 미국 항공우주회사 스페이스X와 스타링크 위성인터넷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가 설계·운영하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으로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는 대로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다.
스타링크는 저궤도 위성을 활용해 전세계 어디에서나 고속·저지연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자체 보유한 정지궤도 위성으로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했던 KT SAT는 정지궤도 기반의 MVSAT과 스타링크를 동시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스페이스X 한국자회사인 스타링크코리아는 스타링크 서비스를 위해 정부 승인을 추진하고 있다. KT SAT은 스타링크 출시 후 신규 고객 유입을 가속화하고 3년 내에 전세계 2천척 이상의 선박에 위성통신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위성통신은 넓은 커버리지에서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끊김 없는 최저보장속도를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KT SAT는 이를 활용해 기지국 설치가 불가능한 해양선박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했는데, 최근 선원 복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OTT·온라인 강의·게임 등 직원들의 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고속 통신에 대한 요구가 늘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KT SAT는 스타링크 서비스 도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KT SAT은 우선 모빌리티 분야에 집중해 스타링크를 제공해 정지궤도와 저궤도 위성간의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해양통신 분야에서 정지궤도의 연속, 안정적인 통신과 저궤도의 고속·저지연 통신을 함께 제공해 선박에 최적의 통신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KT SAT 송경민 대표는 “저궤도 위성서비스는 항공, 해상 등 지상 통신망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초고속 통신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며 “KT SAT은 다중궤도 서비스 사업자로서 정지궤도 위성서비스 노하우와 비정지궤도 위성을 결합한 고품질 통신망으로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ETRI, 국방연과 6G 위성통신 기술 개발 협력
- KT SAT, ‘APSCC 2023’서 다중궤도 위성서비스 성과 공유
- LGU+, KAIST·큐노바와 6G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 최적화 성공
- 정부, 우주발사체 산업 해외진출 돕는다…발사체 기업 육성안 마련
- 항공·우주 애플리케이션 AI 가속화…AMD, ‘버설AI엣지’ 적응형 SoC 공개
- 과기정통부, 독자 저궤도 위성통신망 확보 나선다
- [그것을 알려주마] 일론 머스크의 ‘xAI’, 시장 활성화 불쏘시개 될까?
- KT SAT, ‘새틀라이트아시아 2023’서 차세대 위성 솔루션 공개
- 삼성, 5G 기반 위성통신용 모뎀 국제표준기술 확보
- KB국민은행, 스타링크 기반 ‘모바일 화상상담 서비스’ 확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