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토와 베어로보틱스가 차세대 물류용 자율주행로봇(AMR)과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물류센터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적합한 물류용 자율주행로봇(AMR) 솔루션 개발 ▲국내 및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개척을 목표로 상호 협력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파스토는 현재 운영하는 메가센터에 다양한 물류 자동화 설비와 시스템 간의 연동 경험을 통해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WES(Warehouse Execution System) WCS(Warehouse Control System) 등에 관한 전문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외식업계·호텔업·리테일 등 여러 분야에서 AI 기반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베어로보틱스는 100% 자율주행 로봇을 선보이며 현재 전세계 20여개국에 진출했다.
양사는 상호 보유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파스토 메가 센터에서 물류용 자율주행로봇(AMR) 및 자동화 솔루션 개발 과정에 필요한 검증을 거쳐 각종 물류센터에 도입가능한 자율주행로봇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이다.
파스토는 국내 최초로 국토부 1등급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을 받은 용인 1센터/2센터의 자동화 물류를 자체 기획·운영하며 일반 매뉴얼 운영 센터 대비 최대 3배까지 출고 생산성을 확대시켜 왔다. 물류센터 효율과 디지털전환을 고민하는 물류센터 사업자를 대상으로 구독형 RaaS (Robot-as-a-Service) 서비스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베어로보틱스는 올해 출시된 국내 최대 적재용량 서빙로봇 서비 플러스(Servi+) 및 엘리베이터와의 연동 기술로 층간 이동가능한 실내배송로봇 서비 리프트(Servi Lift)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자율주행 로봇을 선보이고 있다.
파스토 홍종욱 대표는 “파스토는 베어로보틱스와의 협약을 시작으로 AMR 뿐만 아니라, 스마트 물류센터 솔루션 확장을 위해 다양한 물류 자동화 업체들 과의 비즈니스 협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베어로보틱스 하정우 대표는 “베어로보틱스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서비스로봇을 넘어 물류용 AMR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 여러 기업과 협업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6조5000억 해외직구 시장…알리익스프레스 등 中 업체 약진”
- 코오롱베니트, 인천물류센터 확장 이전…수용능력 2배 확대
- 현대모비스, 제조업 최초 ‘설계안전성검토(DFS)’ 사업장 의무 적용
- CJ대한통운, 타타모터스와 파트너십…“인도 물류 서비스 다양화”
- KT, 중소 파트너사 ICT전시회 참가 지원…“해외시장 판로 개척 돕는다”
- SK E&S, 대한통운과 수소 기반 친환경 물류 생태계 조성 ‘맞손’
- 주행 안정성 강화…KT, AI 서비스로봇 2종 업데이트
- 네이버·CJ대한통운, D2C 핵심 ‘네이버도착보장’ 서비스 내달 론칭
- 로봇·자율차·UAM 친화형 건물 1만동 들어선다
- 기계연, 사람 피부처럼 느끼는 다중 촉각 동시 감지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