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베어로보틱스, LG전자에서 각각 제작한 AI 서비스로봇 2종을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기존 모델에서 주행 안정성과 마케팅 활용성을 개선한 제품으로 태블릿과 키오스크에서 주문을 돕는 ‘스마트오더’ 서비스와 매장 내 호출 시스템 등과 서비스 연동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베어로보틱스의 AI 서비스로봇 차세대 모델은 주행 안정성을 강화하고 대형 무게 반응형 트레이와 높낮이 조절 가능한 4단 트레이를 탑재한 점이 특징이다. 10.1인치 디스플레이, LED/매트릭스 LED 제공으로 홍보와 안내 등 마케팅 활용도를 높였다고 KT는 소개했다.
LG전자의 AI 서비스로봇 차세대 모델은 6개의 독립 서스펜션, 라이다/3D 카메라를 통해 주행 안정성을 개선한 점이 특징이다. 디스플레이에 원하는 안내문구를 노출시키는 고객 안내모드를 이용하면 안내로봇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매장에 제공되는 콘텐츠관리시스템(CMS)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10.1인치 디스플레이에 재생할 수도 있다.
KT는 AI 서비스로봇 2종 모두 태블릿과 키오스크에서 주문을 돕는 스마트오더 서비스와 매장내 호출 시스템 등과 서비스 연동을 제공한다.
2종 로봇 모두 최적화된 서스펜션 구조와 완충 장치를 사용해 울퉁불퉁한 타일 바닥이나 요철 등이 존재하는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KT는 차세대 AI 서비스로봇 출시를 계기로 서비스로봇의 보급을 실내 골프장, PC방, 소형 부품 공장 등으로 본격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KT AI Robot사업단 이상호 단장은 “차세대 서비스 로봇은 KT의 노하우가 축적된 제품으로 다양한 고객들의 업무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KT 로봇플랫폼 역량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로크웰, 두산과 전략적 파트너십…스마트팩토리 신기술 개발 협력
- 현대모비스 조성환, “SW-실리콘 통합 플랫폼으로 모빌리티 혁신 가속화”
- LGU+, “로봇사업 확대한다”…빅웨이브로보틱스와 ‘맞손’
- 모벤시스, 美 AMR 제어 테크 스타트업 ‘스카이라’ 인수
- 삼성, KAIST와 로봇 특화 인재육성 '맞손'
- 슈나이더, HMI 센트릭 포트폴리오 확장…“OT-IT 유기적 연결 가능”
- [포토] “입는 로봇부터 산업용 로봇까지 모였다”
- SKT, 두산로보틱스와 ‘AI바리스타로봇’ 개발…시장 공략 본격화
- 서비스로봇 가치 키운다…KT, “3개 도메인 특화 서비스로봇 선보일 것”
- KT, KT 고객 60가족 초청 ‘키즈랜드 캠핑’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