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중 재단 설립, 하반기 본격 사업 추진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업계와의 상생과 종사자 처우개선을 목표로 ‘모빌리티 상생재단(가칭)’을 설립하고 3년간 약 2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서 2022년 상생 혁신 기반의 사업 전략과 사회적책임 강화 방안을 공개하고 5년 간 500억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출연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28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조성된 상생기금 중 200억원을 투입해 이번에 설립하는 재단은 그간 다양한 형태로 운영돼 온 카카오모빌리티의 상생활동을 총괄하는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재단법인을 통해 회사가 자체 집행해 온 여러 상생활동을 체계화하고 연속성을 부여해 운영효율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재단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재원 확보 방안도 모색하기로 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상생재단은 설립 취지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택시산업 발전 및 경쟁력 제고 지원사업과 택시 서비스 공급자들의 복리후생 증진과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에 집중한다.
모빌리티 스타트업과 기존 산업과의 교류를 촉진하고 동반성장할 수 있는 건전한 산업 생태계 조성과 아울러 모빌리티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조사·정책 연구용역도 추진하기로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상반기 중 이사진 선임과 재단 설립 절차를 마무리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상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 진행해 온 상생활동을 기반으로 재단 설립 초기에는 택시 업계를 대상으로 하는 상생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모빌리티 기업으로서 다양한 소비자와 산업 종사자, 업계 내 스타트업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왔다”면서 “업계의 여러 주체와 상생·동행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사회적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모빌리티 인재 뽑는다…현대모비스, 대학생 대상 ‘SW 해커톤 대회’ 성료
- LGU+, 화물 차주 소통채널 강화…‘화물잇고’ 플랫폼 고도화
- 주행보조에서 무인주행으로…진화하는 자율주행 기술의 미래
- 특허청,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어 배터리 특허 우선심사
- 현대차, 현대모비스 수소연료전지 사업부 인수…“생태계 구축 본격화”
- 모빌리티 혁신위 출범…전기차 배터리 교환형 차량 등 8건 심의
- 카카오 준신위, 계열사 3사 대표와 3차 회의…“계열사와 쇄신안 논의”
- 카카오, ‘2023 기술윤리 보고서’ 발간…거버넌스 체계 고도화
-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4단체와 상생안 합의
- 대법, “타다, 불법콜택시 아니다” 무죄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