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아이폰용 제미나이 협상 보도
애플 iOS 18에서 생성AI 전면배치 고려
구글과 애플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부문에서 연합전선을 구축한다. 구글과 애플이 아이폰용 제미나이 라이선스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아이폰용 제미나이 협상은 구글과 애플이 각각 안드로이드와 iOS로 스마트폰 OS 시장에서 경쟁관계란 점을 생각하면 의외의 반응도 나온다.
이번 협력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아이폰에서 구글의 제미나이가 핵심 기능으로 사용되는 흥미로운 풍경이 보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양사 모두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전했는데, 이는 최근의 상황과 무관치 않다. 우선 애플의 입장에서 생성AI는 점점 더 애플의 아픈 손가락이 되고 있는데, 이를 제미나이를 통해 반전시키려는 의도가 녹아 있다.
지난해 전세계 상장기업 중 최초로 시가총액 3조달러를 돌파하는 등 승승장구했던 애플은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에 전세계 최고의 가치를 지닌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내주면서 미래 비전을 의심받고 있다.
이러한 주된 배경으로는 미·중 갈등 속에서 아이폰의 판매 부진과 확산되는 생성AI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한 점이 지적된다.
특히 애플로부터 시총 1위의 자리를 빼앗은 MS가 생성AI 분야의 선두주자인 오픈AI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제품군 전반에 생성AI를 전면 배치하고 있다는 점은 애플의 늦은 대응을 더욱 부각시킨다.
MS가 오픈AI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면서 생성AI 이슈에 적극적으로 반응한 나선 반면, 애플은 생성AI 이슈에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더딘 움직임은 생성AI 이슈에서 애플을 변방에 위치하게 했다.
애플을 추월한 MS는 물론 애플에 이은 시총 3위 기업으로 올라선 엔비디아도 AI의 확산 속에서 주목받는 기업이라는 점을 볼 때 생성AI에 대한 미진한 대응은 애플의 분명한 실책으로 꼽힌다.
구글의 경우에는 비교적 빠르게 생성AI 이슈에 반응했지만, 시장에서의 영향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2016년 최정상 바둑기사인 이세돌 9단을 꺾은 ‘알파고’로 AI의 진화를 전세계에 알린 선두주자였지만, 최근의 생성AI 이슈에서 구글은 ‘챗GPT’로 생성AI 시대를 연 오픈AI에게 AI 혁신의 대표주자의 자리를 내어 준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양사 간 협력은 이러한 상황을 단숨에 반전시킬 수 있는 카드다. 아이폰에 제미나이가 탑재되면 구글은 제미나이의 사용자층을 비약적으로 확대함은 물론 사실상 AI 스마트폰을 곧 제미나이 폰이 되도록 하는 기회를 맞이 할 수 있다. iOS와 안드로이드OS는 현존 스마트폰의 전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애플로서도 제미나이 탑재는 나쁘지 않다. 특히 제미나이를 통해 사용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구동되는 온디바이스AI의 이슈에 보다 발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이미 '픽셀8', '갤럭시S23' 등 AI를 탑재한 AI스마트폰이 등장한 상황에서 애플 아이폰 역시도 빠른 대응을 요구받는데, AI 기능 탑재에 걸리는 시간을 제미나이를 통해 단축할 수 있다.
물론 양사 협력은 처음이 아니다. 최근 진행되는 반독점소송 과정에서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애플에 매년 수십억달러에서 수백억달러의 금액을 지불한 것이 알려졌다.
이 비용은 iOS와 사파리 브라우저의 기본 검색으로 구글 검색을 위치시키기 위해 지불된 것으로, 안드로이드와 iOS라는 외면의 경쟁과는 별개로 매년 거액을 주고받는 긴밀한 파트너 관계를 이어온 것이다.
양사의 검색 파트너십이 알려지면서 검색엔진 시장에서 구글 검색의 독점적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불공정 사례라는 비판을 받고 있지만, 이와 별개로는 이익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누구와도 협력할 수 있는 비즈니스의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다.
떠오르는 생성AI 분야에서 MS·오픈AI 연합이라는 경쟁상대에 양사 모두 밀리는 양상을 보이는 만큼 '어제의 적'으로 알려졌던 구글·애플이 연합해 '오늘의 동지'로 긴밀하게 연합해 반전을 꾀하는 상황이 펼쳐져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애플이 6월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iOS18을 공개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iOS18에서 지금까지와 달리 애플이 생성AI 기능을 전면에 내세워 온디바이스AI에 대한 사용자 요구 충족에 나설 것이라는 것이다.
한편 애플이 오픈AI와도 논의를 시작했다는 말도 나온다. 구글, 혹은 오픈AI와의 라이선스 관련 루머는 iOS18에서는 생성AI 기능이 전면배치될 것이라는 예측에 힘을 실는다. 6월 생성AI를 탑재한 iOS가 실현된다면, 올 연말에는 온디바이스AI 아이폰 등장을 기대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그것을 알려주마] 폭풍질주 엔비디아, 애플 기업가치 넘어설까?
- 2월 ICT 수출액 두 자릿수 증가세…“메모리 수출 확대가 전체 견인”
- AI TV 시대 선언한 삼성, “역대급 AI칩 성능…시청경험 높일 것”
- 반등 노리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다시 ‘먹구름’
- 업스테이지·폴라리스오피스, 온디바이스AI 오피스 솔루션 공동개발
- SKT, “개인형 AI비서 시장 공략 본격화”
- AI 규제안 앞다퉈 발의하는 美 주정부…관련 규제 논의 본격화
- ‘MWC 2024’ 현장 찾는 통신3사…AI신기술 공유·신사업 확장 논의 잰걸음
- 올해 주목해야 할 AI 키워드는 ‘SLM’·’멀티모달AI’
- 구글, AI 모델 ‘제미나이’ 상용화 잰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