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의료 분야의 국제공동연구를 지원하는 ‘2024년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 협력 사업’을 공고한다고 밝혔다.
의료 분야는 의료AI와 디지털 치료기기 등 디지털혁신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 중으로, 국내 AI 경쟁력 강화 및 의료 선진화를 위해 정부 차원의 전략적 국제협력과 함께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선진기술 확보의 필요성이 늘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올해 50억원 규모로 신규 추진하는 의료데이터 분석 지능형 SW 협력 사업은 기존의 국내외 선진기관 간 단편적 연구를 넘어 의료AI·디지털 치료기기 분야에서 연구개발형과 사업화형 등 2개 유형으로 구분해 총 3개 과제를 지원한다.
연구개발형은 ▲의료데이터 확보 ▲의료AI·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국내외 의료기관 대상 임상시험 등 초기개발 단계에 대해 2개 과제를 지원한다. 사업화형은 ▲의료AI·디지털 치료기기의 임상시험 ▲인허가 획득 등 서비스의 안정성·유효성 확보 및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1개 과제를 지원한다.
국내외 의료데이터 확보 및 개발되는 의료AI·디지털 치료기기의 신뢰성·유효성 및 안정성 검증을 위해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의료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해 연구개발형은 연간 16억원 이내, 사업화형은 연간 18억원 이내 규모로 최대 3년 동안 지원할 예정이다.
사업에 관심이 있는 ICT기업과 의료 데이터 수집·가공, 성능평가, 실증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의료기관, 연구역량을 보유한 대학 등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원할 수 있다. 과제 추진계획과 기술개발 역량, 국제협력의 구체성 등을 종합적으로 마련한 연구개발계획서를 제출하면 된다.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디지털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본격적인 AI·디지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첨단 기술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글로벌 연구 협력 체계 구축은 필수”라며 “의료 분야 등 AI 혁신이 기대되는 분야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선도적인 AI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월드IT쇼’에 부스 마련한 카카오, 일상 속 AI 서비스 공개
- “지난해 국내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 877만대”
- LG전자, GE헬스케어·한국MS와 스마트병원 구축 사업 ‘맞손’
- 인성정보,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 실시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생태계 자율규약 협약 체결
- 한컴, AI 생체인식 기업 ‘페이스피’에 투자 단행
- ADI 개발 CPM 시스템 ‘센시넬’, 美 FDI 510(k) 인증 획득
- 롯데헬스케어, 에임메드와 기업 건강검진 서비스 개시
- 중기부, UAE와 중소벤처 협력 확대…투자포럼서 협력안 논의
- 카카오헬스케어, AI 기반 초개인화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