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63억원 규모 사회적 기여 창출
네이버가 지난해 ESG경영 노력과 성과를 담은 ‘2023 ESG 통합보고서’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담은 ‘TCFD보고서’를 25일 공개했다.
네이버는 2023 통합보고서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화한 ‘ESG 7대 전략’을 소개했다. 대내외 이해관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5개 주제에 관한 회사의 관리체계 및 향후 방향성에 대해서도 상세히 공개했다.
ESG 통합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해 총 16,809tCO2e 분량의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했다. 이 중 재생에너지 사용(6,678MWh)와 전자문서 등을 통해 절감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4,537tCO2e 분량이다.
네이버는 올해 각 세종까지 미국 그린빌딩위원회가 시행하는 전세계적인 친환경 건물 인증 ‘LEED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하며 사옥, IDC 등 모든 건축물들이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책임감 있는 AI 개발과 사용 확산을 위해 ‘AI 윤리 및 안전성 실천체계(AI Safety Framework)’를 수립하고 활동 성과도 공개했다.
중소상공인(SME) 및 창작자 역량 증진을 위한 상생 캠페인 ‘프로젝트 꽃’도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져가고 있다. 커넥트재단을 통한 교육 지원, 해피빈을 통한 기부 및 펀딩 등까지 고려하면, 네이버는 지난해 총 1,063억3000만원 규모의 사회적 기여 성과를 창출했다.
네이버는 “지배구조 부문에서도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는 한편, 다양한 서비스에 걸쳐 친환경 가치 제공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개인정보보호 강화, 인권경영 고도화 및 SME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역시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EU집행위 “애플, DMA 규정 위반”…‘핵심 기술 수수료’ 위반 여부 추가 조사
- 이스트소프트, 이노베이션아카데미와 MOU…개발자 생태계 활성화
- KT넥스알·나스미디어, 광고 전환율 높이는 AI기술 특허 출원
- 카카오엔터, 한양대와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개발·인재양성 ‘맞손’
- 네이버, AI 안전성 구체적 실천 방안 공개
- “1인 가구 절반 이상 TV 보면서 모바일로 쇼핑·검색”
- 굿어스데이터, 네이버클라우드와 ‘AI 디지털교과서’ 사업 협력
- 카카오 준신위, “불법행위 경영진에 배상책임 검토”
- 카카오, ESG 보고서 발간…“지속가능성·사회적책임으로 신뢰 제고”
- 네이버,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