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최고경영진 경영전략회의, 반도체위원회 신설 결의
SK그룹이 2026년까지 80조원의 재원을 확보하고 인공지능(AI)·반도체 등 미래 성장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AI칩과 AI데이터센터, 개인 AI비서(PAA)와 같은 AI 서비스 등 관련 밸류체인을 정교화하면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1일 SK그룹에 따르면, 지난 28일과 29일 양일에 걸쳐 경기도 이천 SKMS연구소에서 열린 경영전략회의에서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수석부회장,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주요 계열사 CEO 20여명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전략 방향에 뜻을 모았다.
이번 회의에서 이들 최고경영진은 지난 상반기 동안 밸류체인 재정비 등을 위해 운영한 다양한 TF 활동 결과를 공유하고 후속 논의를 진행했다. 각사는 합의한 방향성에 맞춰 올 하반기부터 각 사별 이사회에서 구체적인 실행 방안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미국 출장 중 화상으로 회의에 참석한 최태원 회장은 “지금 미국에서는 AI 말고는 할 얘기가 없다고 할 정도로 AI 관련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며 “그룹이 보유한 역량을 활용해 AI 서비스부터 인프라까지 밸류체인 리더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그린·화학·바이오 사업 부문은 시장 변화와 기술 경쟁력 등을 면밀히 따져서 선택과 집중, 내실 경영을 통해 질적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은 사업 재조정 과정에서 준법(컴플라이언스) 등 기본과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이해관계자들과의 적극적이고 진정한 소통이 중요하다는 점 등을 강조했다.
이들 최고경영진은 이번 회의에서 수익성 개선과 사업구조 최적화, 시너지 제고 등으로 2026년까지 80조원의 재원을 확보하고 AI·반도체 등 미래 성장 분야 투자와 주주환원 등에 활용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운영 개선을 통해 3년 내 30조원의 잉여현금흐름(FCF)을 만들어 부채비율을 100% 이하로 관리한다는 목표도 포함됐다.
AI·반도체 투자를 통해 ▲AI칩 ▲AI데이터센터 ▲AI서비스 등 관련 밸류체인을 정교화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2028년까지 향후 5년 간 총 103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 중 HBM 등 AI 관련 사업 분야에 약 80%(82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SKB)는 AI데이터센터 사업에 5년간 3조4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밸류체인에 관련된 계열사 간 시너지 강화를 위해 이달 1일부로 수펙스추구협의회에 ‘반도체위원회’를 신설하고,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을 위원장으로 보임하기로 했다.
또 향후 중복투자 해소 등을 하는 과정에서 전체 계열사 수를 관리 가능한 범위로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는데 뜻을 함께하고 각사별 내부 절차를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우량 자산은 지속적으로 내재화하고 미래성장사업 간 시너지는 극대화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린다는 포석이다.
SK그룹 관계자는 “다가올 기회에 대비해 성장의 밑거름을 충분히 확보하자는 것이 이번 회의의 출발점이자 결론”이라며 “미래 지향적인 투자 활동은 기업가치 제고 외에 경제 활성화 등을 통해 국가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 28일 경영전략회의…반도체 등 신성장 분야 투자재원 확보 논의
- 사피엔반도체, 44억원 규모 CMOS 백플레인 개발 계약 체결
- 파두, 美자회사 ‘이음’에 추가투자…“CXL 기술 경쟁력 확보에 집중”
- “온디바이스AI 부상으로 소형 AI 모델 시장 본격 개화”
- SK하이닉스, CEO 직속 ‘코퍼레이트 센터’ 신설
- 올해 팹(Fab) 생산능력 6% 증가…“HBM 수요 증가로 장비 투자도 늘 듯”
- 인텔, 전력효율성 18% 개선 ‘인텔3 기술’ 기반 파운드리 노드 공개
- 삼성, “1.4나노(nm) 2027년 양산…목표 성능·수율 확보”
- TSMC 방문한 SK 최태원…“HBM 분야 협력 강화로 AI시대 같이 열자”
- 6월 수출 5.1% 늘었다…무역수지는 80억 달러 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