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NSA/SA, 레드캡 관련 단말·부품·안테나 기술 개발 확대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가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통신망 연동 5G IoT 제품을 개발하는 중소제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4자 간 이번 협업은 중소기업이 새로운 5G IoT 제품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돕고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최근 이동통신망 기반 지능화된 IoT 서비스 제품 수가 늘어난 가운데 제조사의 제품이 통신사별 품질검증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최소 2~3개월 이상의 기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아울러 디지털 제조와 원격관제, 안전·환경감시 등에 활용되는 IoT 장비 특성상 개별 제품에 맞는 검증 인프라가 부족해 많은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신3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5G IoT 관련 통신망 연동 기술규격 공유 ▲각 통신사 테스트 환경 관련 정기적 정보 제공 ▲5G IoT 제품 통신사 검수시험에 RAPA 테스트 결과 활용 ▲중소기업 기술자문 및 컨설팅 등을 시행하며 중소기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RAPA 역시 매년 기술 협약을 통해 통신3사와 중소기업의 협업 환경을 조성해온데 이어 ‘IoT기술지원센터’에 5G 비단독모드/단독모드(NSA/SA), 레드캡(RedCap), IoT 등과 관련된 단말·부품·안테나 기술개발 및 통신사 특화시험 환경을 구축하는 등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통신3사는 IoT 기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차원 상용화 검수 지원과 함께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 멘토링도 강화할 계획이다.
송정수 RAPA 상근부회장은 “AI시대 초연결 5G/6G IoT 분야의 국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상생협력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RAPA가 5G IoT 분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 데이터 사용료 면제된다
- 삼성, 40만원대 5G 스마트폰 ‘갤럭시A35 5G’ 21일 출시
- 통신3사 ‘PASS’ 앱 모바일신분증 가입자 1천만명 돌파
- 과기정통부, 알뜰폰 부정가입 종합대책…“금융권 수준 보안 인증 의무화”
- 첨단 항공교통 분야 사실표준화기구 ‘G3AM’ 출범
- 메타버스 인재 발굴…‘K-디지털 챌린지’ 참가자 모집
-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 데이터 무료”…과기정통부, 통신3사와 협약
- 명의도용·부정가입 예방…KT엠모바일, 판매점에 신분증 스캐너 도입
- KT, 전파진흥협과 MOU…중소 제조사에 5G 단말 검증환경 제공
- SKT, 싱텔과 MOU…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협력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