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고객 서비스 시스템 현장 점검, 서비스 효율 제고 주문
LG전자 조주완 CEO가 글로벌 고객 서비스 시스템 현황 점검에 나섰다.
10일 LG전자에 따르면, 조주완 CEO는 9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한국·해외 고객접점 서비스 시스템을 집중 점검하고 “AI와 디지털을 통해 고객접점을 지속 혁신하며 글로벌 고객에게 LG전자만의 차별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것”을 당부했다.
조 CEO는 특히 서비스 품질의 지속적인 제고를 위해 구축한 조직적인 통합 지원 체계와 DX 성과를 꼼꼼히 들여다봤다.
LG전자는 GPS 기반의 실시간 고객 관리 시스템을 비롯해 AI 상담 및 원격 진단·조치 시스템, 사용 데이터 기반 제품 진단 시스템 등 고객 서비스 영역 전반에서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고 있다.
2021년 본격 도입한 실시간 고객 상황 관리 시스템 ‘G-CAS(GPS-based Customer Assistant System)’가 대표적인 예다. G-CAS는 고객과 서비스매니저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교통 상황으로 서비스매니저가 약속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면 가장 근접해 있는 매니저를 대신 배치하거나 제품 수리 중 부품 수급이 필요한 경우 해당 부품을 가진 인근 매니저가 즉시 지원하는 식이다.
조 CEO는 또 50여개 해외법인 산하 60여개 상담센터 운영 지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글로벌 상담센터 통합 상황실도 점검했다. 특히 글로벌 고객의 불편 사항을 빠르게 파악해 대응하는 호크아이(Hawk-Eye) 활용 현황을 꼼꼼히 확인했다.
호크아이는 상담 데이터나 온라인 트렌드를 모니터링, 선제적으로 고객 페인포인트를 찾고 개선하는 시스템이다. 아직 불편을 느끼지 못하던 고객들의 잠재 페인포인트까지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HE사업본부 HE연구소에서 개발했다.
조 CEO는 “방대한 데이터에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 고객에게 유의미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를 찾아야 한다”며 “세계 곳곳의 고객들에게 더욱 수준 높은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DX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 CEO는 서비스 시스템 현장 점검 후 27년 간 외진 섬마을을 돌며 가전 수리를 담당한 목포센터 서요신 기정 등 서비스매니저들을 만난 자리에서 “서비스는 고객이 다시 한 번 LG전자를 사랑하게 만들 수 있는 소중한 골든타임”이라며 “책임감 있게 업무에 임하는 여러분이 자랑스럽다”고 격려했다.
관련기사
- LG전자, 구글 LLM ‘제미나이’ 탑재한 LG클로이 로봇 공개
- “스마트가전, 더 똑똑해졌다”…삼성, 2024년형 비스포크AI 라인업 공개
- LG전자 조주완, “공감지능 활용, 고객 감동 상담시스템 고도화” 주문
- 올해 CES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AI’·‘모빌리티’·‘넷제로’
- “인공지능(AI) 상용화 원년…더 커진 혁신 요구에 답할 때”
- “구시대 유물에서 스마트홈 허브로”…기회 맞은 스마트TV 톺아보기
- ‘Up가전 2.0’ 공개한 LG전자, “서비스형 홈(HaaS)으로 초개인화 가전시대 열겠다”
- LG전자 SW공인시험소, TUV라인란드 ‘가전SW 기능안전 지정시험기관’ 인증
- LG전자, 獨프랑크푸르트에 ‘에어솔루션연구소’ 신설
- 삼성 타이젠OS, 명품 TV 브랜드 ‘로에베’에 탑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