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17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2024년 규제자유특구 협력네트워크 행사를 열고 향후 추진계획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현재 운영 중인 33개 규제자유특구의 사업자와 지자체,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규제자유특구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유사 특구간 사업화 모델 발굴과 공동 법령 대응 등의 활동으로 규제를 정비하고 지역 성장기반의 계기를 만들고자 마련됐다.
중기부는 이날 올해 추진계획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중기부와 지자체·특구 간 추진체계를 구축해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함으로써 협력네트워크의 실행역량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추진계획은 타부처의 지원사업과 연계·협력을 통해 규제정비는 물론 지역 성장기반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도 포함하고 있다.
우수사례 공유회에서는 특구 사업을 통해 지역 성장기반을 마련한 경북 차세대 배터리 재활용 특구와 전남 e-모빌리티 특구의 사례를 공유했다.
2개 특구는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계기로 혁신사업의 성장을 가로막은 규제를 정비하고 사업화에 성공하고 지역 성장기반을 마련, 혁신산업의 클러스터로 발전하고 있다.
이들 특구는 신산업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 개선과 대규모 투자 및 우수기업 유치, 후속사업 연계, 정부와 지자체 노력 등을 주요 성공요인으로 꼽았다.
IR·투자상담회도 열렸다. IR에서는 도심배송·수소·모빌리티·로봇·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 특구사업자 8개사가 참여해 지역펀드와 연계한 투자자로부터 투자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투자상담회에서는 특구사업자들의 사업적 가치와 투자전략 수립에 대한 전문적인 투자상담도 제공했다.
김홍주 규제혁신기획단장은 “규제자유특구가 지역의 혁신성장을 가로막는 규제를 철페하고 지역 성장기반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전체 특구 간의 협력과 더불어 중기부와 관계부처의 다양한 정책과의 연계 및 후속지원이 중요하다”며 “특구사업자가 지속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특구 간 협력을 강화하고 특구사업자를 위한 IR 및 사업화 지원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삼성, 英스타트업 ‘옥스퍼드시멘틱테크놀로지스’ 인수 계약
- 하나은행·SKT, AI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2기 발대식
- 중기부, 독일과 에너지 신산업·기후테크 기술 협력 확대
- 구글, ‘구글 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AI 퍼스트’ 데모데이 성료
- 중기부, 올해 운용 글로벌펀드 15개 선정…1조2000억원 규모 조성
- 중기부, 올해 종료 ‘제3차 규제자유특구’ 성과 제고 방안 논의
- 규제자유특구 확대…글로벌 4곳 자유 5곳 확정
- 규제샌드박스 누계 승인 1천건 돌파…도입 4년 6개월만
-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 출범…수수료 완화·투명성 제고 등 논의
-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제도개선 위한 시행령 개정안 의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