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에너지협의체 보고서, 국가 가이드라인 수립으로 사업 성과·확실성 제고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한국이 저탄소 에너지 확대를 위해 지역사회와 협력을 도모하고 국가 차원의 이득을 지역사회와 공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13일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낮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의 저탄소 에너지 시장에 대한 현황과 전망에 대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SEMI가 운영하는 에너지협의체(SEMI Energy Collaborative)를 비롯해 파트너 조직과 한국 정부의 참여를 바탕으로 작성한 이 보고서는 저탄소 에너지 공급을 늘리는 데 필요한 투자와 정책 변화를 중점으로 작성됐다.

SEMI의 에너지 협의체와 함께 반도체 기후 컨소시엄이 진행한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반도체 생태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83%가 전기 소비로 인한 간접 배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성 약속 이행에 관심이 높은 여러 주요 기업의 경우 반도체 제조공장이 스코프3 배출 중 상당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목표에 맞춰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하는 기업은 경쟁력이 하락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는 저탄소 에너지의 공급 확대가 기후 변화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업계의 대응책이라고 짚었다. 

SEMI에너지협의체에 따르면, 한국의 저탄소 에너지 시장은 2030년 목표 대비 15~30TWh 격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격차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설정한 목표에 맞춘다면 30~50TWh로 증가한다.

[SEMI에너지협의체 보고서인용]
[SEMI에너지협의체 보고서인용]

보고서는 이같은 격차 해소를 위해 ▲저탄소 에너지 공급 메커니즘의 확장 및 개선 ▲프로젝트 개발 과정에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촉진하면서 이익 공유를 위한 국가 지침 도입 ▲저탄소 에너지 공급 확대를 위한 병목현상 해소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개발업체가 마주한 최대 장애물 중 하나는 지역사회의 반대인데, 독일·덴마크 등의 사례와 유사한 국가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면 보상 자격·금액에 대한 명확한 예상치를 설정가능해 사업 성과와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한국은 지역사회의 지지 부족, 송전 인프라 부족, 구매제도의 한계 등 저탄소 에너지 공급 여정에 있어 여러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정부와 업계가 합심해 노력한다면 새로운 저탄소 에너지 발전소 사업의 투자유치 및 경제 성장 촉진 효과 등 탈탄소화 목표 달성을 향한 새로운 진전을 이뤄낼 것”이라고 분석했다.

SEMI 글로벌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부사장인 무수미 밧 박사는 “에너지 협의체가 발간하는 보고서는 업계의 저탄소 배출 달성을 위한 방해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권장사항을 담았다”며 “첫 시작을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했다. 이같은 프로젝트를 다른 지역에서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