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600대 기업 대상 조사, 제조업 대내외 리스크 확대
5월부터 회복세를 보였던 기업 경기 전망 흐름이 중동사태와 내수부진 우려에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2024년 9월 BSI 전망치는 92.9를 기록하며 기준선 100을 하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이는 전월(97.1) 대비 4.2p 하락한 수치다.
한경협은 “BSI 전망치는 올해 5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며 기준선 100에 근접하고 있었으나, 최근 세계 경기 둔화 전 중동사태에 따른 경기심리 불안에 내수부진 우려가 겹치면서 지수값이 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8월 BSI 실적치는 91.9로 전월(93.6) 대비 1.7p 하락했다.
9월 경기 전망은 제조업(93.9)과 비제조업(91.9)이 동반 부진했다. 제조업(93.9)은 미국 실물경기 둔화, 중국 경제부진, 내수여력 약화 등 대내·외 리스크 확대의 영향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비제조업(91.9)은 지난 7월 105.5로 기준선 100을 넘었으나 건설업의 불황 지속과 여름 성수기 종료 등의 영향으로 큰 폭 하락했다.
8월 제조업 세부 업종(총 10개) 중에는 ▲의약품(125.0)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14.3) ▲식음료 및 담배(105.3)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100.0)에 걸친 목재·가구·종이를 제외한 6개 업종은 업황 악화가 전망된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총 7개) 중에서는 ▲도·소매(101.9)가 호조 전망을 보였으며 기준선(100.0)에 걸친 전문과학·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를 제외한 5개 업종은 업황 부진이 예상된다.
특히 ▲여가·숙박 및 외식업은(78.6)은 여름 휴가철이 마무리 됨에 따라 7개 업종 중 가장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9월 조사부문별 BSI는 ▲내수(96.3) ▲수출(94.5) ▲고용(94.0) ▲자금사정(93.7) ▲채산성(92.9) ▲투자(91.4) ▲재고(102.6)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이 나타났다. 특히 내수와 수출, 투자는 올해 7월 전망 이후 3개월 연속 동시에 부진했다.
내수(96.3)는 고금리 부담에 따른 가계소비 여력 약화로 2022년 7월(95.8)부터 27개월 연속 기준선(100.0)을 하회하고 있다. 수출(94.5)은 지수값이 전월(99.2) 대비 4.7p 떨어지면서 2022년 8월(-5.1p) 이후 2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보였다.
한경협은 “최근 수출은 대부분 반도체 호황에 기인한 것으로 반도체를 제외하면 수출 증가세는 미약한 상황”이라며, “여기에 대외 불확실성이 더해지면서 기업 심리 전망이 위축된 것”으로 풀이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세계 자본시장 충격, 중동정세 악화, 미중 경기불안에 더해 내수부진 우려가 커지면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졌다”라며, “기업이 국내외 정세의 급박한 변화 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ESG 성과, 기업 M&A서 중요 평가 항목으로 부상
- 7월 수출, 10개월 연속 성장 달성
- 올해 상반기 반도체 시스템 설계 산업 매출 14.4% 증가
- 첨단산업 전력의존도 최대 8배 높다…한경협 “전력수급 개선 시급”
- OECD 경제계 “올해 하반기 완만한 성장세” 예상
- 매출 1천대 기업 63% “올해 하반기 수출 증가 예상”
- “韓기업 지분 보유 핵심광물 광산 수, 주요국과 차이 크다”
- 한경협, “현 경영환경 맞게 기업집단 동일인 제도 개선해야”
- 기업 경영 위협하는 3대 리스크는 ‘기후·성장·인구’
- “중동 리스크 확대, 유가 급등 시 연말 물가상승률 최대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