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행안부, 지역별 사업 추진 현황 공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가 충청권 4개 시도와 함께 인공지능(AI)과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한 재난안전관리체계 실증처인 충북 오창 산업단지 등을 방문해 재난안전관리 체계 구축 현황을 점검하고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AI·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관리체계 강화 사업은 산업재해·생활안전 등 다양한 재난·사고를 정밀하게 예측하고 신속 대응하기 위해 재난안전관리 체계 개발과 실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해부터 내년까지 총 3년간 360억원을 투입해 총 4개 분야의 디지털 기반 사고 예방·대응 체계 개발과 실증을 지원한다.
올해부터 이 사업이 과기정통부-행안부 간 전략적 교류직위 협업과제로 선정됨에 따라 양 부처는 디지털 재난관리체계 구축에 필요한 맞춤형 재난안전데이터 공유체계를 구축하는 등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지난 6월 재난안전정보 공동이용협의회를 통해 행안부·고용부·소방청 등이 보유한 62개 공공 데이터 제공을 확정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연계·활용해 충청권 4개 시도와 함께 재난안전관리 체계와 안전사고 대응 지침 등을 고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번 간담회에서 과기정통부와 행안부, 충청권 4개 시도는 지역별 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실증·활용 확산 방안을 위한 애로사항 및 정책 건의사항 등을 공유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위험과 재난을 사전에 예측·대비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 구축도 중요하지만 구축 후 제대로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
체계 구축 등 의사결정 과정에서 실제 수요기업·부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고, 지속가능한 지역 디지털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의 실증사업 확대와 후속지원의 필요성 등도 제안했다.
이성은 행안부 재난안전데이터과장은 “재난안전관리에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다면 정밀한 사전 예측과 효과적인 사후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 재난안전관리 체계 구축·확산 과정에서 과기정통부·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황규철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현장 방문을 통해 재난안전관리 체계 구축 추진현황부터 실제 수요기업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까지 면밀하게 점검했다”며 “충청권 4개 시도의 디지털 기반 재난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선도사례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산업부, APEC 회의서 지속가능 공급망·디지털경제 협력 제안
-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시뮬레이터 본격 가동
- 과기정통부, 잇따른 카카오톡 장애 관련 시정조치 요구
- 과기정통부·행안부, 공공 정보시스템 혁신 ‘맞손’…협의회 발족
- SKT, 산림청과 위성·소형 기지국 통합 긴급통신 기술 개발
- KTis, 소방청과 재난안전 협력 체계 구축한다
- SKT, 부산도시철도 LTE-R 철도통신망 구축한다
- 과기정통부, 통신재난 관리대상 부가통신사업자 지정·발표
- KOSA, 취약계층·사회초년생 SW기술자 신청수수료 지원
- 전투기 위협 회피 지원시스템 개발…레이더 전력반도체 국산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