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사업자와 협력, 설치 편의성 높이고 비용절감 효과
KT가 온디바이스 A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영상관제 사업을 전기차(EV) 충전소까지 확대 한다고 9일 밝혔다.
KT는 온디바이스 AIoT를 택시 광고, 공유 킥보드 등 다양한 사업에 확대·적용에 나서는 가운데 전기차 충전 사업자인 한국자동차환경협회 등과 협력해 충전소에 ‘온디바이스 AIoT 영상관제 솔루션’을 적용한다.
KT는 영상 관제를 위한 대용량 데이터 전달 등에 소요되는 플랫폼 구축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온디바이스 AIoT 기술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단말에서 실시간 수집 데이터가 AI로 처리된 후 결과만 서버로 보내져 설치 편의성은 높이고 비용은 절감했다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온디바이스 AIoT 영상관제 솔루션은 충전소 상단에 설치된 AIoT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차량 주변의 연기 등을 감지해 관리자에게 이상 징후 초기 단계부터 빠르게 알려준다.
적외선(또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충전기 커넥터 및 차량 접속 단자의 급격한 온도 상승이나 V2G 통신 이상 등의 대표적인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관리자 알람 신호 외에도 현장 상황이 짧은 영상으로 관리자의 웹 화면과 애플리케이션으로 실시한 송출된다.
KT는 추후 소방서에도 자동으로 이상징후를 전달하거나 전기차 충전기에 연동된 관제 플랫폼을 통해 원격에서 전력 공급도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로도 확대할 예정이다.
온디바이스 AIoT 영상관제 솔루션은 이달 10일부터 12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2024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KT 전략·신사업부문 AX사업본부장 김재권 상무는 “KT의 온디바이스 AIoT 영상관제 솔루션은 합리적인 비용과 시간으로 안전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최적화 서비스”라며 “전기차 충전소 외에도 KT의 AIoT 플랫폼을 적용할 분야를 확대해 사회 안전망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테슬라, 내년 초 유럽·중국에 FSD 출시한다
- KT, 판교사옥 입주 11개 유망 벤처·스타트업과 성과공유회
- EU, 테슬라 전기차(EV) 관세율 20.8%에서 9%로 인하 조정
- “인프라 구축 비용 60% 줄였다”…KT, ‘경량형 5G 업무망’ 개발
- LGU+, 지능형 홈CCTV로 초등생 돌봄 지원
- LG전자, 美차지포인트와 전기차(EV) 충전사업 ‘맞손’
- LGU+·카카오모빌리티 EV 충전 합작법인(JV) ‘볼트업’ 공식 출범
- 삼성스토어, 전기차(EV) 충전소 매장 확대…연말까지 5개 매장 추가 도입
- 카카오내비로 테슬라 차량 제어…카카오모빌리티, ‘커넥티드카’ 서비스 공개
- “자율순찰로봇으로 안전사고 예방”…서울시, AIoT 시범사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