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현지시간)부터 6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신규 표준화 아이템 4건이 승인됐다고 밝혔다.
전세계 54개국 회원국 33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 이번 국제회의에 우리나라는 60여명의 전문가가 참가했다.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차기 연구회기의 중점 기술로 디지털배지 및 자격증명서에 활용될 수 있는 탈중앙 방식의 자격증명신뢰기술과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 아바타 개인정보 보호 기술을 제안해 승인받았다.
또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데이터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제조 보안, 스마트 계약을 통해 발행되는 명세서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인보이스 보안 등도 승인되는 성과를 거뒀다.
국내 산·학·연을 중심으로 다년간 주도적으로 개발해 온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 서비스 환경에서의 수직이착륙기체 보안 가이드라인 및 요구사항과 분산원장기술 기반 원타임 인증키 생성 프레임워크 등 총 5건의 보안 기술도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됐다.
아울러 차량용 엣지컴퓨팅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 및 가이드라인, 온라인 분석 서비스용 참조 모니터 국제표준이 최종 승인됐다.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위한 보안 보증 등 총 3건의 구현 관점에서의 부속서도 최종 승인됐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단일 국가에서 독자적인 방법으로 지능화된 사이버위협을 해결할 수 없다”며 “디지털 강국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자격증명서, 메타버스 보안 기술 등 차세대 보안 표준 개발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ICT 국제공동연구 가속화
- 삼성SDS, AI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IEC42001’ 획득
- “데이터 신질서·생태계 조성 위한 데이터 인프라 전략 필요”
- 과기정통부, 비정형 데이터로 데이터 품질인증 확대
- ETRI, ITU 국제표준 4건 승인·신규표준화 11건 채택 성과
- SKT 제안 ‘AI DC 기술’, ITU-T 국제회의서 신규 표준화 과제 승인
- 전파연구원, ITU서 국제표준 3건·표준화과제 7건 채택 주도
- KT 제안 ‘양자 인터넷’ 기술, ITU-T SG13 국제표준화 과제 승인
- 한국 주도 ‘메타버스 표준화 그룹’ ITU에 신설
- 산업부, 국제 공동 R&D 프로젝트 44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