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부품 적용, 탄소배출량 기존 대비 8% 저감
LG디스플레이(LGD)가 14인치 하이엔드 노트북용 LCD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 최초로 TUV라인란드의 탄소배출 저감 인증(PCR)을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LGD는 노트북용 패널의 생산·사용·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기존 대비 약 8% 저감했다.
제품 설계 단계부터 재활용이 용이한 부품을 우선 적용하고 초정밀 미세공정으로 회로 집적도를 높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저전력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신기술을 다수 도입한 결과라고 LGD는 설명했ㅆ다.
친환경 부품 사용 확대를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새로 적용했다. 설탕 제조 후 버려지던 사탕수수 부산물을 가공해 자연에서 분해되는 바이오매스(Biomass) 플라스틱을 개발해 기존 플라스틱 부품 일부를 대체했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화석연료 기반의 플라스틱과 달리 폐기 식물을 활용해 자원 순환율을 높이고 탄소배출량도 줄일 수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소재로 꼽힌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사용한 결과 LGD 노트북용 패널은 글로벌 안전과학회사 UL솔루션즈의 검증을 거쳐 바이오 기반 소재 인증(Bio-based Environmental Claim Validation)도 획득했다.
LGD 박정기 중형개발그룹장(전무)은 “고해상도·고주사율 등 뛰어난 성능과 친환경적 요소까지 동시에 만족하는 제품으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하이엔드 IT용 디스플레이 시장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국레노버, ‘코파일럿+’ AI PC 2종 국내 출시
- LG전자, B2B 사업 정조준…“2030년 BS사업본부 매출 10조원 달성”
- ‘첨단산업=국가안보’ 위기의식…美·中·日, 배터리 등 첨단산업에 수십조 보조금
- LGD OLED TV·모니터 패널, 美아이세이프 ‘일주기 리듬 인증’ 획득
- LGD, 광저우 대형 LCD 공장 中CSOT에 매각…“OLED에 더 집중”
- 폴더블·벤더블·SDV 특화 디스플레이 기술…한자리에 모였다
- 산업부, iLED 산업 육성 얼라이언스 회의…4,840억원 R&D 계획 논의
- 잡아당겨도 고화질 유지…국내 연구진, 신축형 OLED 구현 기술 개발
- ‘SID 2024’ 참전한 LGD, VR용 올레도스·전장 OLED 등 신기술 공개
- 솔루스첨단소재, 전자소재 생산기지 2배 확장·이전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