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로봇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정 검토
정부가 로봇을 첨단전략산업으로 새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되면 관련 산업 육성·보호를 위한 특화단지 지정 등 각종 특혜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16일 에이로봇을 방문한 자리에서 로봇분야의 A/X 선도 프로젝트 등을 통해 2027년까지 휴머노이드 기술 경쟁력을 글로벌 최고 수준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달 제1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산업의 AI 대전환을 위해 주요 산업에 AI를 접목하는 ‘산업 A/X 선도 프로젝트’ 추진방안을 보고한 바 있다.
2027년까지 300개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해 제조·로봇·디자인·유통 등 각 산업 경쟁력도 제고하고 AI와 AI 반도체 등 신산업 성장 동력도 확보할 계획이다. 300개 프로젝트 중 가장 먼저 AI 자율제조 분야가 이달부터 시작된다.
최근 챗GPT 등 AI기술의 혁신으로 휴머노이드 관련 글로벌 투자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지난 1월 골드만삭스는 2035년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규모를 380억달러로 예측했는데, 이는 불과 1년여 만에 6배나 증가한 규모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생성 AI에 이어 물리 AI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며 휴머노이드 등 로봇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테슬라는 AI·로봇 기업”이라면서 수년 내 대량 생산을 목표로 자사 휴머노이드 모델인 옵티머스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휴머노이드가 가진 고도의 인지·판단능력은 산업현장의 생산성·안전·품질 등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에서는 휴머노이드가 개인 비서역할을 하는 1가구 1로봇 시대가 곧 열릴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기도 한다.
휴머노이드 개발 과정에서 AI반도체, 센서·모터 등 부품, 배터리 등 첨단 산업과 기술의 발전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
박 차관은 “휴머노이드는 산업 AI 대전환의 핵심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 “미국·중국 등이 대규모 선제 투자로 앞서나가고 있지만 우리도 인력과 기술력 등에서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휴머노이드 A/X 프로젝트가 AI, 로봇, AI반도체, 부품 기업 등의 역량을 결집하는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2027년 글로벌 최고수준의 휴머노이드 개발을 목표로 내년 상반기 중 프로젝트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첨단산업=국가안보’ 위기의식…美·中·日, 배터리 등 첨단산업에 수십조 보조금
- 산업부, 내년 신규 R&D 사업 심의…초격차 신규 R&D에 투자
- 경기혁신센터, 우정바이오·충북혁신센터와 바이오 유망 스타트업 발굴 협력
- KIST, 전북도·전북대·원광대와 바이오 산업 육성 협력 MOU 체결
- 특허청, “지식재산(IP) 인재 양성으로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원”
- 특허청,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어 배터리 특허 우선심사
- 산업부, 탄소소재 기술 개발에 5년간 1,046억원 투입
- 과기정통부, 반도체·이차전지 등 ICT R&D에 1,324억원 투자
- 반도체 등 첨단산업 외국인 투자 심의 강화된다
- “특허빅데이터 활용·기술보호 법령 강화로 기술유출 선제적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