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올해 2월과 7월에 이은 제3차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거쳐 총 14건의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해 규제특례를 지정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기차(EV) 충전 대신 배터리를 직접 교환해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배터리 교환식 충전 서비스는 차량과 배터리의 소유권을 분리해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특례를 부여했다.
오토바이 배달통에 LED·LCD 광고판을 부착해 광고를 송출하는 서비스에는 화면 밝기를 제한하는 등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조건을 부여해 안전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플랫폼 운송사업 허가를 받아야 하는 교통약자 맞춤형 동행서비스는 특수 개조 차량을 활용해 교통약자를 이송하는 서비스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이 부족한 점을 고려해 규제특례를 부여하기로 했다.
또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전기택시 서비스도 교통약자가 비교통약자와 동등한 이동권을 누릴 수 있도록 특례를 부여받았다.
한국공항공사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라이터, 보조배터리 등 위해물품을 탐지하는 보안 검색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할 예정이며,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공공기관에게만 제공할 수 있는 교통카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개방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민간에게 제공해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택배차 사고 또는 고장 시에 화물차를 대여해주는 서비스는 자가용 화물차의 신속한 대여로 운송이 중단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특례를 부여받았으며, 중고차를 장기 렌트해주는 플랫폼 서비스에서는 등록할 수 있는 차량 연한을 1년 미만에서 2년 미만으로 확대하는 특례를 부여받아 제도개선과 관련된 안전성을 검증한다.
전형필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낡은 규제를 과감히 걷어낼 수 있는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한 실증특례 건수가 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은 모빌리티 분야의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고 모빌리티 분야의 혁신을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모라이, 2025년 기업공개(IPO) 추진…주관사로 삼성증권 선정
- 과기정통부, 국토부와 공개제한 데이터 활용에 ‘맞손’
- 현대오토에버, 모빌리티 보안 차별화 ‘사이버 시큐리티 사업부’ 출범
- 국토부,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20개사 선정·발표…2027년까지 100개사 지원
- 규제샌드박스 전용펀드 175억원 최초 결성
- 국토부, 장거리·광역노선 자율주행 화물운송 본격 추진
- 과기정통부, 비대면 가스 안전관리 등 6개 규제특례 지정
- 바이코, 48V 전기차(EV) 시스템용 전력 모듈 3종 공개
- LG전자, 완속 EV 충전기에 이중 안전망 구축
- SK시그넷, 충전기 통합 지원 시스템(CISS)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