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 드론으로 숲속에서 실종자 탐지
안정적 집단 드론 제어·운용

ETRI가 개발한 자율비행 드론의 비행 모습 [사진=ETRI]
ETRI가 개발한 자율비행 드론의 비행 모습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자율주행 로봇에 널리 활용되는 동시 자기위치추정·맵핑(SLAM) 기술을 드론에 적용해 숲속과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람을 찾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율비행 기술과 이동관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ETRI가 개발한 시스템은 GPS 활용이 불가한 숲속에서도 자율적으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경로를 계획해 자동으로 임무를 수행한다.

전자광학(EO)/적외선(IR)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들이 지정된 수색 구역을 자율비행하면서 수집한 영상을 이동관제 시스템에 전송하고, 딥러닝(DL) 기술로 학습된 추론기를 실시간으로 운용해 실종자를 탐지함으로써 수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특히 ETRI의 시스템은 비정형의 복잡한 숲속 환경을 정밀하게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점군)로 재구성해 실종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표시함으로써 수색팀이 실종자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TRI는 보유한 ▲숲속 실종자 수색을 위한 SLAM 기반 자율비행 기술 ▲충격에 강건한 드론 기체 개발 ▲숲속 환경에서의 실종자 탐지용 데이터셋 구축, 인공지능(AI) 기반 실종자 탐지 기술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3D 전역 공간 재구성·시각화 기술 등을 활용해 이번 시스템을 개발했다. 

ETRI는 경남경찰청 드론운용팀, 경찰대학, 관련 기업인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 위원들과 함께 실제 수색 환경을 모사한 자운대 솔밭공원에서 3대의 드론을 활용한 자율비행 실증시험을 수행해 다수 드론 자율비행 시스템의 실종자 수색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ETRI는 실증을 통해 경남경찰청 드론운용팀으로부터 수집된 피드백을 시스템에 반영·보완해 2027년까지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산악지역 실종자 수색을 위한 시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ETRI 차지훈 자율비행연구실장은 “다수의 자율비행 드론을 활용한 실종자 수색 기술은 실종자의 생존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국민 안전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공공 안전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