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솔루션 API 개발자 홈페이지 오픈
LG전자가 스마트홈 플랫폼 LG씽큐의 API를 전면 개방하고 스마트홈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최근 LG씽큐의 API를 공식 개방하는 LG 스마트솔루션 API 개발자(LG Smart Solution API Developer) 웹사이트를 오픈했다.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고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디지털 연결 고리다. 개발자들은 개방된 씽큐의 API를 통해 다양한 LG전자 제품 데이터와 기능을 자신의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으로 가져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LG씽큐의 API는 개인 사용자용 ‘씽큐 API(ThinQ API)’와 기업 파트너용 ‘씽큐 비즈니스 API(ThinQ Business API)’로 구성된다.
개인을 위한 씽큐 API는 다양한 스마트홈 플랫폼에서 LG씽큐 앱에 등록된 가전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씽큐 API를 활용하면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맞춤형 스마트홈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예를 들어 글로벌 스마트홈 플랫폼 ‘홈어시스턴트’ 이용자들은 씽큐 API 개방을 통해 기존에 구축한 스마트홈 환경에서 냉장고·세탁기 등 총 26종의 LG전자 가전을 추가로 연결·제어할 수 있게 됐다.
홈어시스턴트는 전세계 약 1백만명의 사용자가 참여해 기기 자동화, 기능 확장 등 다양한 스마트홈 기능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커뮤니티 기반 오픈 플랫폼이다.
기업용 씽큐 비즈니스 API는 오피스·주거용 빌딩을 운영하는 파트너사가 가전부터 냉난방공조, 사이니지 같은 상업용 설비까지 다양한 LG전자 제품을 기존 앱에 연동해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G전자는 올해 폭넓은 IoT기기 연결성이 장점인 스마트홈 플랫폼 기업인 앳홈(Athom)을 인수해 개방형 생태계를 기반으로 외부 제품과 서비스를 LG씽큐 플랫폼에 연동하는 데도 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앳홈의 광범위한 개방형 생태계와 IoT기기 연결성을 AI홈 허브 ‘LG씽큐 온’에 통합해 생성AI가 고객을 이해하고 최적의 공간 솔루션을 제공하는 AI홈을 실현할 계획이다.
LG전자 HS플랫폼사업센터 김건우 상무는 “씽큐 API 공식 개방을 통해 다양한 스마트홈 파워유저들과 B2B사업자와의 협업을 확대하며 LG전자 제품으로 최적화된 스마트 공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유블럭스, 와이파이6-블루투스LE 5.4 결합 모듈 ‘MAYA-W4’ 공개
- SKT, AI에이전트 ‘에스터’ 공개…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 삼성, 美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암호모듈 보안 인증 획득
- LG전자, AI홈 허브 ‘Q9’ SDK 공개…개방형 생태계 조성 본격화
- MCU 모듈 제조 스타트업 ‘누코드’, 시드투자 유치 성공
- 삼성 ‘스마트싱스’, SDV로 확장…현대차·포티투닷과 ‘맞손’
-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AI가 고객 이해…LG전자 류재철 “AI홈 시대 개막” 선언
- ‘모두를 위한 AI’ 내세운 삼성…“개방형 스마트싱스 생태계로 시장 선도”
- 삼성, ‘CES 2025’서 ‘AI홈’ 탑재 스크린 가전 대거 공개
- LG전자, 선제적 고객 지원 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