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보고서, 유료 OTT플랫폼 계정 공유율 전년비 12% 하락
전 국민 10명 중 9명은 OTT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일 ‘2024 콘텐츠 이용행태 조사’와 ‘2024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콘텐츠 이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콘텐츠 유형별 이용률은 ▲OTT(89.3%) ▲음악(65.3%) ▲애니메이션(22.4%) ▲만화·웹툰(19.1%) ▲캐릭터 구매(8.6%)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이용률을 기록한 OTT는 50대 이하 연령층에서 모두 90%가 넘을 정도로 이용률이 높았다.
젊은 연령층은 다양한 콘텐츠 유형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는 OTT(99.6%), 만화·웹툰(50.3%), 음악(80.1%) 이용률이 타 연령층 대비 높았다. 10대는 애니메이션(50.4%), 캐릭터 구매(19.4%)에서 높은 이용률을 기록했다.
평균 2개의 콘텐츠 유형을 이용하는 모습도 보였다. 콘텐츠 간 교차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애니메이션 이용자가 만화·웹툰을 이용하는 비율이 51%로 높게 나타났다. 만화·웹툰 이용자의 21.7%와 애니메이션 이용자의 24.8%는 캐릭터 구매도 한다고 답했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 플랫폼 요금제 다변화 및 콘텐츠 다양화에 따른 이용행태가 눈에 띄었다.
유튜브 이용자의 14.6%는 프리미엄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20대(27.6%)와 30대(28.3%)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 티빙과 KBO의 유무선 중계권사업 계약의 영향 등으로 유료 OTT 이용자의 15.4%가 스포츠 중계 시청을 위해 구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30대(30.6%)와 남성(75.8%) 비중이 높았다.
이외에도 넷플릭스, 디즈니+ 등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의 영향으로 유료 OTT플랫폼 이용자의 계정 공유율이 전년보다 약 12%p 하락한 57%로 나타났다.
콘텐츠 이용행태 조사는 콘텐츠산업의 분야별 이용행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실시했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이용행태 조사는 대국민 OTT 플랫폼과 콘텐츠 이용 행태를 확인하고자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다. 두 조사는 전국 10세 이상 국민 5,033명을 대상으로 6월27일부터 8주간 대면 면접을 통해 진행됐다.
관련기사
- 12월 3주차 콘텐츠 통합 랭킹…‘열혈사제2’ 제친 ‘옥씨부인전’ 1위 등극
- 성장세 둔화 ‘e커머스’ 주요 트렌드로 ‘콘텐츠 커머스’ 부상
- 토종 OTT, 日 진출 돕는다…콘진원 ‘맞춤형 지원사업’ 성과 공개
- 콘텐츠 정보·예고·해설을 한 번에…LGU+, 리뷰 플랫폼 ‘원로우’ 오픈
- 유통·소비재 주요 트렌드는 ‘리퀴드 소비’…“소비자와 관계 형성이 키워드”
- 국내 OTT사업자 4곳, 함저협과 저작물 이용 관련 합의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출시 2년…전년비 채널·유료구독자 2배 증가
- 머스크의 X, 유료구독 모델 확대 실험
- 메타, 광고 제거한 유료구독 모델 검토…“유료 SNS 시대 오나”
- 지난해 디지털 크리에이터 산업 매출 5조300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