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조사, 매출 5억원 미만 업체 대다수 차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지난해 국내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매출이 5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발표한 ‘2024년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업체 수는 1만3514개, 매출액은 5조3159억원, 종사자 수는 4만2378명이며 사업체당 연평균 58.1편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국내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사업체 수는 1만3514개로 전년도 1만1123개보다 약 21.5%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1만7개(23.8%↑), 광고·마케팅 2132개(0.7%↓), 매니지먼트(MCN) 1232개(49.9%↑), 온라인 비디오 공유 온라인 플랫폼 143개(101.4%↑)로 조사됐다.

지난해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의 전체 매출액은 5조3159억원으로 전년비 28.9% 성장했으며 분야별로는 영상제작 및 제작지원 2조737억원(30.5%↑), 광고·마케팅 1조7663억원(12.6%↑), MCN 7,531억원(14.1%↑), 온라인 비디오 공유 온라인 플랫폼 7,229억원(135.3%↑) 순으로 조사됐다. 

업체당 평균 매출은 3억9000만원이며, 매출 5억원 미만 업체가 대다수(65.4%, 8,838개)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는 4만2378명으로 전년비 19.8% 증가했으나 여전히 종사자 5인 미만 사업체가 83.5%(1만1000개)를 차지해 산업 생태계가 영세 사업체 중심으로 운영되고 30대 이하 청년이 58.7%(2.4만명)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74%(1만개)로 연평균 58.1편을 제작했다. 콘텐츠의 장르는 패션·미용 등 생활양식(36.5%), 교육·강의 등 정보전달(26.6%), 여행 등 취미(22.7%) 순으로 집계됐다.

콘텐츠를 유통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유튜브(68.1%), 인스타그램(10.8%), 네이버TV(7.3%) 순으로 나타났다.

최준호 방송진흥정책관은 “디지털 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은 매체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으면서 새로운 사업 모형과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며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영세 창작자 및 사업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