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시험성적서 발급기관 7곳·한전 등 기관과 MOU 체결
무역 계약, 통관 등 수출입 전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시험성적서가 전자문서 형태의 디지털 시험성적서로도 발급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시험성적서 발급 기관 7곳 및 수취 기관 등과 디지털 시험성적서 유통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체결된 이번 협약은 그간 지류로 발급하던 시험성적서를 전자문서 파일형태로 변환해 국가전자무역시스템(uTradeHub)을 통해 발급기관인 시험인증기관에서 한국전력 등 수요기관으로 전송해 기업의 편의성과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간 종이 시험성적서는 등기우편 수신 및 수요기관 제출 과정에서 문서의 위변조 발생 가능성이 지적돼 왔다. 등기우편으로 수신 및 제출하면 평균 2~3일이 소요되고 이에 따른 행정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
산업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가전자무역시스템에 디지털 증명문서 기능을 추가하고 시험성적서 발급기관과 최종 수취기관인 한전, 발전 5개사, 에너지공단에 디지털시험성적서 관리시스템을 구축·연계해 시험성적서의 발급과 유통, 활용, 보관 등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신속한 증명서 유통으로 시간·비용을 절감하고 실시간으로 증명서 위변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연간 약 46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협약 체결을 계기로 보다 많은 시험인증기관과 수요기관이 디지털시험성적서 발급 및 유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수출기업이 전자무역시스템을 통해 편리하게 시험성적서를 해외기관에 제출할 수 있도록 국가 간 협력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12월 수출 614억 달러…연간 수출 6,800억 달러 돌파
- 산업부, ‘통상환경변화 대응 및 지원법’ 내달 1일 시행
- AI반도체·HBM, 생성AI 시대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부상
- 美 반도체 수출통제 대응…산업부, 반도체 장비업체 대상 설명회
- 美USTR, 중국산 태양광 웨이퍼에 관세 2배 인상
- 산업부, 제6차 한중 FTA 공동위…“한중 FTA 이행 상황 점검”
- “글로벌 공급망 위기, 세계 각국은 보호무역주의 강화”
- 국내 대기업 10곳 중 7곳 “내년 투자계획 없거나 미정”
- 산업부, 초광역 산학연협의체 출범식…9대 산업 25개 단지 본격 가동
- 美 신행정부 출범 민관합동 대책회의…“실무대표단 급파해 미국과 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