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양산 후 단계 전과정 최고수준 보안, 국내 배터리 업계 중 최초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레벨3 인증을 획득했다. 국내 배터리 업체 중 레벨3 인증을 받은 곳은 LG엔솔이 최초다.
20일 LG엔솔은 국제 시험·인증기관 TUV라인란드로부터 국제표준 ISO/SAE 21434 기반의 자동차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레벨3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 인증은 차량용 소프트웨어 및 전기·전자 부품의 사이버보안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기업에게 부여된다.
LG엔솔은 지난해 4월 CSMS 레벨2 인증을 받은 데 이어 1년도 채 되지 않아 레벨3 인증 달성에 성공했다.
레벨2가 설계에서 생산 과정까지 철저한 보안 체계 구축 여부에 대한 인증이라면 레벨3은 실제 제품을 대상으로 설계부터 양산 후 단계까지 전 과정을 거치는 동안 최고 수준의 보안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증이다.
자동차 산업이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시대로 진입하면서 데이터 보안은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사이버보안과 관련 규제도 강화되고 있다. 유럽경제위원회(UNECE)가 제정한 차량보안규정(UNR155)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을 포함해 북미와 아시아 등 56개의 UNECE 협약국에서 차량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인증이 필수다.
전기차(EV) 배터리 역시 단순히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넘어 사용자의 운전 정보,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 등 핵심 데이터를 생산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엔솔은 이번에 취득한 CSMS 레벨3 인증을 통해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관련한 역량을 입증함으로써 글로벌 주요 고객사의 신뢰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엔솔 BMS개발그룹장 이달훈 상무는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이번 CSMS 레벨3 인증을 통해 높은 기술력과 신뢰도를 입증했다”며 “안전한 데이터 기반 사업 확장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고객가치를 극대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그것을 알려주마] 정부-민간 협력 기반의 혁신과 MaaS의 미래
- 친환경차 키운다…정부, 전기차 핵심 소부장 기술에 4,300억원 투자
- SK온 “전고체 배터리 기술 난제 해결”…연구개발 성과 공개
- 로보택시 산업, 2024년 약진…글로벌 시장 두드린다
- LG엔솔, 美태양광 EV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에 배터리 공급
- SDV 혁신 가속화…인텔, ‘CES 2025’서 차세대 전장 솔루션 공개
- LG엔솔 김동명 “기업가치 1등 엔솔 2.0 기반 다지는 2025년 만들자”
- 각형 배터리 개발한다…LG엔솔, GM과 ‘맞손’
- 차세대 이차전지 민관협의체 성과공유회…기술 동향·사업성과 공유
- 가트너 “불확실성 확대에도 올해 EV 출하량 17% 증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