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운항 안전·공항시설 개선 분과, 4월까지 개선책 마련

국토교통부가 항공·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하는 ‘항공안전 혁신 위원회’를 구성하고 서울에서 첫 기획회의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 위원회는 우리나라 항공 안전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만들기 위해 가동되는 국토부 자체 심의·자문기구다.

지난해 12월29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지난달 28일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등 최근 연달아 발생한 항공 사고의 후속조치로 구성됐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위원회는 조종·정비·객실 등 전문가로 구성된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항공교통·조류·건설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눠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된다.

4일 열린 첫 번째 회의에서는 위원장을 선출하고 위원회 운영 방향과 세부 목표를 마련한다. 이후 저비용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 및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 제주항공 참사 후 지적된 개선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또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와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개정, 공항 운영 증명·운영검사, 항공안전 투자 공시 제도 내실화 등 다양한 방안을 다룰 예정이다.

위원회는 내달 말까지 항공 전 분야의 안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4월 초 공청회를 열어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으로 다뤄야 할 과제”라고 언급하며 “정부는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