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맞춤형 재취업·창업 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네이버가 고용노동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중·장년 IT인력의 재취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사회적 선순환을 구축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네이버와 고용노동부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IT업계 맞춤형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네이버 교육센터 공기중 센터장과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을 비롯해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네이버는 IT업계의 숙련된 인력이 퇴직 후에도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네이버는 자체 온·오프라인 교육 플랫폼을 활용해 목표별 교육 과정을 설계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우수 인력을 확보하고, 사회적 비용을 줄여 선순환을 창출하는 사례를 발굴을 기대했다. 네이버와 고용노동부는 모범적인 협업 모델이 인터넷 플랫폼 업계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네이버 교육센터 공기중 센터장은 “네이버는 SME 및 창작자의 스케일업, 미래 세대 AI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여러 세대의 이용자들과 동반성장을 이어왔다”며 “이번 협약으로 인터넷 플랫폼 산업에 특화된 지원책을 마련해 업계의 안정적인 고용 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높은 수준의 체력·경력·학력을 갖춘 중장년들에게 더 오래 일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삶의 질과 국가 경제 활력을 함께 높이는 길”이라며 “협약을 통해 IT산업 근로자들에게 효과적인 재취업 지원을 제공하고, 다른 산업으로도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네이버클라우드·리벨리온, 사우디 소버린AI 구축 협력 ‘맞손’
- [데스크칼럼] ‘가성비 AI’ 딥시크의 출현, 韓스타트업에 숙제·기회 던졌다
- 네이버, 스타트업 11개사와 ‘맞손’…사우디 디지털 생태계 본격 확산
- 한컴, 한국생산성본부와 청년 AI 실무인재 양성 협력
- 젠지(ZenZ) 세대가 IT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
- KB국민은행, 복지부·공익법인과 자립준비청년 사회정착 지원 ‘맞손’
- 중기부, 인도 SW개발자 연계 지원 첫 결실…41개사 206명 채용
- 고용·매출·자산 등 국내 중견기업 성장 성적표 ‘양호’
- 전북 카카오클라우드 디지털 혁신센터 개소…“지역 인재·IT생태계 키운다”
- 중기부, 2025년 예산 15조2488억원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