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통신망 지능화 기술로 효율성 개선
SK텔레콤이 내달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MWC 2025’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이동통신망의 가치를 높이는 네트워크 AI기술들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이번 MWC 전시관에서 범용 서버에 GPU 포함해 다양한 칩셋을 적용해 통신과 AI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AI기지국(AI-RAN) 기술을 시연한다. AI기지국에서 통신 서비스와 AI 워크로드를 동시에 구현하는 방식이다.
통신 기지국은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를 고려해 평소에 여유 자원을 확보하는 반면 AI기지국은 여유 자원을 AI 추론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원을 배분해 줘 AI서비스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이번 전시에는 엣지 AI 국사에 분산된 AI인프라를 통합 관리해 고객에게 AI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AI Orchestrator)과 AI 기반 망 분석 기능(NWDAF)으로 통신 품질을 높이는 사례도 포함된다.
SK텔레콤은 온디바이스AI로 간단한 AI 작업을 처리해 AI서비스에 필요한 서버의 부하를 줄여주는 ‘AI라우팅(AI Routing)’ 기술도 선보인다.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탑재한 서버와 소형언어모델(SLM)을 탑재한 디바이스 중에서 무엇이 최적의 추론 성능을 낼 수 있는지 실시간으로 판단, 서비스할 주체를 할당하는 기술이다.
주목받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통신·센싱 통합(ISAC)’ 연구 현황도 공유한다. ISAC은 전파 신호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로, 기지국이나 단말에서 송출한 통신 주파수 신호가 인체나 사물에 반사되는 정도를 분석해 주변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통신과 센싱 기능을 통합한 새로운 기술인 만큼 이동통신망의 공공안전·산업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동통신 기술 표준화 기구(3GPP),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 등 국제 표준 기구에서도 6G 목표 서비스로 주목하고 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6G 백서 등을 통해 통신과 AI가 융합하는 네트워크의 진화 방향을 제시해 온 만큼 이번 MWC에서는 인프라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AI 유무선 인프라 관련 앞선 기술력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KT·에릭슨, 저대역 주파수용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연구 ‘맞손’
- 위성통신 환경 단점 극복…KT, 5G NTN 기술시연 성공
- KT·LIG넥스원, 민·군 겸용 저궤도 통신위성 기술 개발 ‘맞손’
- SKT, ‘플러그페스트 2024’서 텔코 에지 AI 관련 연구성과 공유
- SKT ‘저궤도위성 기반 재난통신’ 기술, 전파방송기술대상 장관상 수상
- 韓 5G 인프라, OECD 회원국 중 1위…연결 회선 수 기준 2위
- LGU+, 포스텍·코닝과 어퍼 미드밴드 광대역 6G 지능형 표면(RIS) 검증
- SKT·삼성, AI 기반 5G 기지국 품질 최적화 기술 상용망 적용
- 노키아·연세대, 5G 오픈랜 연구 플랫폼 공동 구축
- LGU+, 6G 통신 확장 조망 ‘비지상 네트워크(NTN)’ 백서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