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고위관계자들과 소버린AI 지원 모델 공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이달 17일(현지시간)부터 20일까지 미국 워싱턴 D.C 세계은행 본부에서 열린 ‘세계은행 글로벌 디지털 서밋(2025 Wolrd Bank Global Digital Summit)’에 참석해 인공지능(AI) 시대의 글로벌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포용적 국제협력 업무를 제시했다.
세계은행 아제이 방가 총재, 김상부 디지털전환 부총재를 비롯한 각국의 정부·공공·민간 분야의 고위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이번 회담(서밋)에서 NIA는 한국의 디지털전환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의 AI 발전을 지원하는 체계적 협력 업무를 제안했다.
NIA는 19일 분과(AI Connect: Empowering People)에서 ▲전자정부 도입 ▲데이터 기반 정부혁신 ▲AI 대전환 등 한국의 디지털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AI 발전에 따른 글로벌 디지털 격차 확대를 해소하기 위해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나이지리아 및 부탄과 협력해 추진한 AI 기반 정보접근센터 협력사례를 소개하는 등 협력국의 AI 자립(소버린AI)을 위한 한국의 포용적 국제협력 업무를 제시했다.
부대행사인 혁신 기술 전시회에서는 ▲인공지능 기본법 제정 ▲AI허브 및 학습 데이터 활용 사례 ▲개도국 정보접근센터 ▲한국 AI 기업 우수사례 등도 선보였다.
NIA는 “향후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도상국·저개발국의 AI 격차 해소를 위한 글로벌 협력 모델을 선도하고 이러한 경험과 기술을 국제사회에 지속해서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U+, AWS와 AI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맞손’
- 통신3사, 전세계 3대 IT전시회 ‘MWC 2025’서 신기술 알리기 ‘잰걸음’
- NIA, 나이지리아에 정보접근센터(IAC) 개소
- 네이버클라우드·리벨리온, 사우디 소버린AI 구축 협력 ‘맞손’
- NIA, 2025년 12대 디지털 트렌드 전망 보고서 발표
- KT, 국가 양자 테스트베드 사업 ‘통합 관제 플랫폼’ 구축
- NIA, 민관협력으로 디지털 사회혁신 성과 창출
- 초실감 서비스 구현 뒷받침…ETRI, 6G 네트워크 핵심기술 개발
- AI데이터센터 최우선 과제는 ‘에너지 가용성’ 증대…“전력수요에 대응해야”
- 네이버클라우드, 엔비디아와 협력…“연내 동남아서 소버린AI 성과 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