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부산 간 메타버스 컨퍼런스 시연

3D 실감형 볼류메트릭 라이브 원격 컨퍼런스 서비스 시연 현장 [사진=ETRI]
3D 실감형 볼류메트릭 라이브 원격 컨퍼런스 서비스 시연 현장 [사진=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초실감·고정밀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핵심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ETRI는 6G 초실감 서비스를 위해 필수적인 네트워크 종단간 성능 맞춤형 단말 네트워크 스택 기술을 개발하고 원격회의 시연으로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ETRI가 개발한 네트워크 스택 기술은 응용과 네트워크 상호 간 협업을 통해 플로우당 100Gbps 수준의 초실감 대역폭 성능과 10만분의 1초 수준의 고정밀 성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가상·증강현실 등 초실감 서비스의 원활한 구현이 가능하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ETRI가 개발한 성능 맞춤형 프로그래머블 단말 네트워크 스택은 고정밀 네트워크(HPN) 전송 프로토콜 모듈과 네트워크 운영체계(NOS) 스택 등 2개 모듈로 구성됐다.

ETRI는 "6G 환경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초실감·고정밀 서비스품질(QoS)을 만족하고 인터넷의 TCP-IP를 대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TRI는 기술 상용화 시 원격회의는 물론 원격 오케스트라 협연, 원격 수술, 원격 로봇 및 스마트팩토리 제어, 홀로그램, 실시간 VR 등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외에도 ▲홀로그래픽형 초실감 통신 ▲고정밀 저지연 원격제어 ▲실시간 인공지능(AI) 서비스 등의 현실화를 뒷받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ETRI는 대전-부산간 테스트베드 네트워크에서 3D 실감형 볼류메트릭 라이브 원격 컨퍼런스를 시연해 기술실증도 완료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차세대 네트워크 선도연구시험망(KOREN)에 연동돼 진행된 대전-부산간 458km 테스트베드 네트워크에서 진행된 실증에서는 ETRI 대전 본원 패킷네트워크연구실 실험실의 발표자와 부산 부경대학교 누리관 3층의 발표자가 자료를 띄워놓고 토론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ETRI 정태식 패킷네트워크연구실장은 “6G의 핵심 인프라인 6G 초정밀 네트워크를 위한 초저지연·초정밀 패킷전달 핵심기술뿐 아니라 6G에서 종단간 초실감, 고정밀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솔루션인 성능 맞춤형 단말 프로토콜 스택 기술을 조기에 확보했다”고 의의를 밝혔다.

한편, ETRI는 이번 성과와 관련해 국내외 특허 17건, 고정밀 네트워크 분야의 SCIE 논문 2편과 우수학술대회 논문 1편, 국제표준 1건을 채택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