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원 대표, ‘GTC 2025’서 소버린AI 구축사례 공유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가 미국 산호세에서 열린 ‘GTC 2025’에서 엔비디아와 소버린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GTC 행사 중 특별히 마련된 ‘소버린AI 서밋’ 세션에 발표자로 나서 비영어권 언어 기반의 대규모언어모델(LLM)로 소버린AI의 가능성을 검증한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하고 네이버만이 구현할 수 있는 AI 공급망(AI Value Chain)과 이를 통한 실제 소버린AI 구축사례를 공유했다.
김 대표는 “네이버는 AI서비스와 데이터, AI백본, 인프라,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까지 AI 공급망 전 영역에 걸친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이를 통해 소버린AI 확보를 원하는 국가 및 기업들의 기술 발전 단계에 따라 맞춤 제공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AI가 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며 초고령 사회 독거노인의 돌봄 문제를 AI로 지원하는 AI 안부전화 서비스(클로바 케어콜)와 보안이 중요한 국가 기반 산업에서 AI를 적용한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은행의 뉴로클라우드 구축사례를 공유했다.
김 대표는 “각 국가와 기업이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자체적인 AI 역량 및 소버린AI가 필요하고 네이버는 이러한 기업, 국가들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면서 “네이버와 같이 AI 공급망 전 과정을 경험한 기업뿐 아니라 엔비디아를 포함해 AI 공급망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기업들이 생태계를 만들어 협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이버클라우드와 엔비디아는 지난해 소버린AI 구축을 향한 공감대를 형성 후 실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해 긴밀히 협의 중이다.
동남아 시장을 타겟으로 LLM,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등 현지에서 소버린AI 구축을 함께할 수 있는 파트너 발굴에 나서고 있고, 이를 통해 연내 동남아 지역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네이버클라우드는 기대했다.
관련기사
- NIA, ‘세계은행 글로벌 디지털 서밋’서 AI 국제 협력안 제안
- KT, 한전·서울대와 전력 특화 AI솔루션 공동 개발·실증
- SKT, AI에이전트 ‘에이닷’에 구글 ‘제미나이’ 최신 버전 추가
- 15주년 맞은 카카오…정신아 “신중하되 대담한 리더십 필요한 때”
- LGU+, AWS와 AI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맞손’
- 디노티시아, 한국어 논리 추론 최적화 LLM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 카카오, ‘카나나’ 경량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 네이버클라우드·리벨리온, 사우디 소버린AI 구축 협력 ‘맞손’
- 국내 클라우드 시장, DT 가속화·생성AI 도입 수요로 성숙기 진입
- 블랙웰로 광속 AI 팩토리 운영 지원…엔비디아, 미션컨트롤 플랫폼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