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1기 정기주총, AI사업 고도화로 수익 창출 본격화
SK텔레콤이 제41기 주주총회를 열고 ▲2024년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총 2명의 이사 선임 등의 안건을 승인했다.
26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열린 이번 주총에서 2024년 연결 재무제표는 전년비 각각 1.9%, 4.0% 성장한 연간 매출 17조9406억원, 영업익 1조8234억원으로 승인됐다. 주당 배당금은 전년과 동일하게 연간 3,540원으로 확정됐다.
투자자들이 배당금을 확인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정관도 변경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이사회 결의를 통해 분기 말일로부터 45일 이내 배당기준일과 배당금을 정하고 이를 2주 전에 공고하게 된다.
SK텔레콤은 김창보 변호사와 강동수 SK PM부문장을 각각 신임 사외이사와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했다.
이번 주총에서 유영상 CEO는 2024년 재무 실적 및 사업 성과를 주주들과 공유하고 AI공급자로서 구체적으로 ‘AI성과창출’ 방법을 정리한 ‘AI피라미드2.0’ 전략과 이를 뒷받침 하는 구체적인 사업 현황과 비전도 설명했다.
통신 사업 전체 포트폴리오 관점의 운영 최적화를 통해 경쟁력을 차별화하고 결합상품, 가족로밍과 같은 대표 상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O/I(Operation Improvement) 고도화를 이뤄갈 계획이다.
유영상 CEO는 “SK그룹 전체의 AI역량을 결집하고 국내외 파트너십을 강화해 AI 테크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등 한국형 AI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말 SK텔레콤이 신설한 SK AI R&D센터는 그룹 전체의 AI혁신을 촉진할 그룹의 AI브레인으로 기능하며, 멤버사들의 AI역량을 총결집해 차세대 AI기술 개발을 주도해 나갈 방침이다.
대표 AI협의체인 ’K-AI 얼라이언스’와의 사업 및 기술 공동 개발 등을 통해 국내외를 아우르는 협력 체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유영상 CEO는 “2025년 SK텔레콤은 AI사업 고도화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주주가치와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것”이라며, “AI로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고 한국형 AI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U+ 홍범식 “AX 중심 성장동력 확보, 주주가치 제고에 집중”
- 한국레노버, AMD 크라켄포인트 신제품 출시
- SKT, 美 AI스타트업 ‘투게더AI’에 전략적 투자 단행
- AI스마트폰 시대 도래하나…“올해 출하량 4억대 돌파 가능성”
- LG엔솔 김동명 “2028년 매출 2배, EBITDA 마진 10% 중반 개선할 것”
- KT, 한전·서울대와 전력 특화 AI솔루션 공동 개발·실증
- SKT, AI에이전트 ‘에이닷’에 구글 ‘제미나이’ 최신 버전 추가
- 디노티시아, 한국어 논리 추론 최적화 LLM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 SKT, ‘MWC 2025’서 AI기지국·AI라우팅 기술 시연
- MS365 코파일럿, 26개 금융사 내부망 사용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