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인재 육성으로 산·학·연 동반성장 선순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역 지능화 혁신인재 양성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연구센터 간 교류 활성화 및 지역인재의 체계적 육성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지·혁·인 교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대학의 ICT 역량을 활용해 지역산업을 고도화·다각화하기 위한 산·학 공동연구와 지역 산업 재직자의 ICT 역량 제고를 위해 센터당 연 20명 규모의 대학원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2015년부터 각 지역의 주요 거점대학을 지역지능화혁신연구센터로 지정·운영하면서 연구센터에 연간 약 20억원 이내의 예산을 최장 8년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까지 1,095명의 석사·박사를 배출했고 지역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1,264명을 대상으로 ICT 교육을 지원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 1,186건, 기술이전 수입 125억5200만원, 특허등록 478건 등의 성과를 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27일 서울 그랜드센트럴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전국 15개 대학 연구책임자, 산학협력 기업 관계자가 참여했다.
행사에서는 충북대 산업인공지능연구센터, 전남대 지능화혁신 G5-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AICT) 연구센터의 연구개발 및 산학협력, 재직자 교육 실적을 운영 우수사례로 소개하고 연구센터별로 운영 현황과 계획을 공유했다.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최신 기술과 지역 강점 산업이 융합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길러진 핵심 인재들이 지역 산업과 연구계로 배출돼 산·학·연이 동반성장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AI 대전환 시대에 지역지능화연구센터가 AI 혁신의 중심이 되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면밀히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지능정보화 기본법 개정안 27일 시행…키오스크 이용 개선된다
- AI 3대 강국 도약…과기정통부, AI 글로벌 컨퍼런스 성료
- 과기정통부, AI 연구용 컴퓨팅 지원 프로젝트 사업 설명회
- 산업부, 기회발전특구 13개 지구 선정…지역인재 2,500명 키운다
- 과기정통부, 올해 R&D사업에 6조3000억원 투입
- AI반도체·보안·양자·SW 석·박사급 인재 키운다
- 헥사곤·영남대, 미래차 융합 인재 양성한다
- NIA·제주대, 제주지역 디지털뉴딜/ICT교육·인재양성 분야 협력
- 광주 국가AI데이터센터 구축사업 본격화, NHN광주사무소 12일 개소
- 과기정통부, 디지털 분야 해외 진출·수출 활성화에 60억원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