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와 ‘AI 글로벌 컨퍼런스’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이날 컨퍼런스는 이러한 정부 정책의 연장선에서 마련됐으며 해외와 국내 AI 기업이 한곳에 모여 전략적 협력을 모색하고 AI 컴퓨팅 기반시설과 AI 모형의 동반상승 효과를 극대화할 방안을 논의했다. 

컨퍼런스에는 오픈AI,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퍼플렉시티, LG AI연구원, 리벨리온, 퓨리오사AI 등 AI 분야 국내외 주요기업들이 참여했으며 ‘컴퓨팅 기반시설과 AI 모평: 혁신의 주도권을 잡아라’는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오프닝 세션에서 정소영 엔비디아코리아 대표는 “AI 파운데이션 개발에 스케일링 법칙이 의미가 없는 것 아니냐는 논의가 최근 있었지만 컴퓨팅 자원은 AI 모델을 만드는 데만 쓰이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AI가 사람처럼 각 영역별 문제 해결 방식을 학습하고 사고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팅 자원이 쓰이는 단계가 됐다. AI 학습뿐 아니라 추론에서도 고성능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키스 스트리어 AMD 수석부사장은 “우리 자녀는 운전면허증이 필요한 마지막 세대, 기업 경영자는 모든 인력을 고용한 마지막 CEO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디지털 노동자와 인간 간 균형을 활용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소버린AI의 역량”이라고 말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오픈AI 제이슨 권 최고전략책임자(CSO)는 AI 컴퓨팅 기반시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모형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력한 기반시설 구축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지난달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인공지능 컴퓨팅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국가 인공지능 역량 강화방안’의 주요 내용을 공유했다.

엄 정책관은 2026년 상반기까지 1만8000장 규모의 첨단 GPU 신속 확충,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형 개발을 위한 국가대표 사업 추진을 강조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부의 신속한 후속조치를 약속했다.

유상임 장관은 “AI 컴퓨팅 기반시설은 AI의 뼈와 근육이고 AI 모형은 두뇌”라며 “강력한 컴퓨팅 기반시설과 고도화된 AI 모형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성능이 극대화되고 진정한 혁신이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날 논의된 내용을 잘 반영해 AI 컴퓨팅 기반시설의 신속 확충과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형 개발 집중 지원 등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