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모빌리티쇼’서 콘셉트카 첫 공개
LG전자가 기아와 손잡고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인공지능(AI)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을 개발하고 시장 확대에 나선다.
LG전자는 기아와 PBV 기반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구현 비즈니스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3일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 현장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LG전자의 AI 공간 솔루션 역량과 기아의 PBV(Platform Beyond Vehicle) 기술력을 결합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모빌리티 공간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공동의 목표 아래 이뤄졌다.
양사는 협력 첫 번째 결과물로 2025 서울모빌리티쇼 기아관에서 협약의 비전을 보여주는 콘셉트카 ‘슈필라움 스튜디오’와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을 첫 공개했다.
독일어로 ‘놀이 공간’을 뜻하는 슈필라움(Spielraum)은 기아 PV5에 LG전자의 맞춤형 가전을 접목한 AI모빌리티 공간 솔루션으로 개인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가전과 가구를 조합해 나만의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1인 사업가를 위해 기획된 ‘슈필라움 스튜디오’는 모듈형 스타일러, 스마트미러, 커피머신을 비롯한 AI가전을 적용해 이동 시간에 맞는 스타일러 코스를 제안하는 등 맞춤형 모빌리티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은 냉장고, 광파오븐, 와인셀러를 탑재해 캠핑·피크닉 등 야외 활동에 최적화된 콘셉트카다.
생성AI가 적용된 허브(LG씽큐 온)는 탑승객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슈필라움 내 가전제품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씽큐 온과 대화하며 일정 장소를 네비게이션에 등록하거나, 피크닉용 음식을 추천 받고 광파오븐을 작동시키는 형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고객이 이동 중에도 AI가전을 활용해 능률적으로 일하고 편히 쉴 수 있도록 모빌리티 공간을 발전시키는 데 협력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앞서 공감지능(AI) 기반의 AI홈 시대를 선언하며 궁극적으로 AI홈을 상업공간이나 모빌리티 등 고객이 머무는 모든 공간으로 확장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올해 1월 열린 ‘CES 2025’에서는 홈 가전을 하나하나 모듈처럼 조합해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모빌리티 콘셉트(MX 플랫폼)를 선보이기도 했다.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은 “이번 LG전자와의 협력은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이라는 PBV의 본질적 가치를 구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개인화된 생활 및 업무 공간으로 진화하는 모빌리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이번 기아와의 협력은 공감지능으로 새로운 일상을 만드는 LG전자의 ‘AI 공간 솔루션’이 집을 넘어 모빌리티, 나아가 고객이 머무는 모든 공간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테슬라, 1분기 인도량 두 자릿수 감소…주가 약세 속 실적부진 ‘설상가상’
- 현대모비스, 주요 부품에 친환경 알루미늄 적용…EGA와 공급 계약 체결
- 티머니, 모빌리티 사업부 물적분할…‘티머니모빌리티’ 출범
- 네이버, 현대차그룹과 차량용 앱 생태계 확장 ‘맞손’
- 산업부, 반도체·배터리 등 24개사 사업재편계획 승인
- 솔루스첨단소재, EV 배터리 업체 ACC와 전지박 2차 공급계약 체결
- 성장세 탄 XR 산업계…고객경험 개선 위한 전략·로드맵 수립할 때
- 웨이모, 팔로알토 등 美실리콘밸리서 로보택시 서비스 지역 확대
- 운전대, 접고 펼친다…현대모비스, 폴더블 조향 시스템 개발
- 기아차·카카오모빌리티, EV 사업 활성화 맞손…생태계 구축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