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원 이상 투자유치 시 3년 간 정부가 최대 12억원 지원

중소벤처기업부 현판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 현판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도전과 혁신·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한 ‘2025년 스케일업 팁스(일반형) 기업 지원계획’을 공고한다고 7일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본격적인 성장단계의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운영사로부터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면 정부가 연구개발(R&D)을 3년간 최대 12억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후속투자 유치 등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 모태펀드에서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최대 20억원을 지원한다.

중기부는 트랙을 세분화해 스케일업 팁스를 일반형과 글로벌 트랙으로 구분했다고 설명했다. 신설된 글로벌 트랙은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한 기업에 3년간 최대 15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이 강화된 만큼 일정액 이상의 해외투자 유치 등 일반형보다 강화된 요건이 부여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일반형 과제는 102개로 초격차 10대 분야,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탄소중립분야 등 전략기술 기반의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한다.

중기부에 따르면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전략 분야의 R&D 수행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존 24개 운영사 컨소시엄 중 해당 분야의 발굴 실적과 R&D 지원역량이 뛰어난 운영사를 특화 운영사로 지정한다.

운영사별로 기업의 R&D 수행을 지원할 전담 코디네이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컨소시엄 구성의 추가·변경도 가능하도록 했다.

운영사에 대한 평가와 인센티브 체계도 실질적인 스케일업 지원 실적을 중심으로 개선된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기존에는 운영사로부터 선행 투자를 받아 R&D 또는 지분투자 중에서 지원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으나 올해부터는 R&D를 먼저 수행한 이후 기업의 성장에 맞추어 지분투자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개편된다.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연계 투자 방식을 성과와 연동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제도를 개선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