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원 이상 투자유치 시 3년 간 정부가 최대 12억원 지원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도전과 혁신·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한 ‘2025년 스케일업 팁스(일반형) 기업 지원계획’을 공고한다고 7일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본격적인 성장단계의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운영사로부터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면 정부가 연구개발(R&D)을 3년간 최대 12억원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후속투자 유치 등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 모태펀드에서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최대 20억원을 지원한다.
중기부는 트랙을 세분화해 스케일업 팁스를 일반형과 글로벌 트랙으로 구분했다고 설명했다. 신설된 글로벌 트랙은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한 기업에 3년간 최대 15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이 강화된 만큼 일정액 이상의 해외투자 유치 등 일반형보다 강화된 요건이 부여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일반형 과제는 102개로 초격차 10대 분야,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탄소중립분야 등 전략기술 기반의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한다.
중기부에 따르면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전략 분야의 R&D 수행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존 24개 운영사 컨소시엄 중 해당 분야의 발굴 실적과 R&D 지원역량이 뛰어난 운영사를 특화 운영사로 지정한다.
운영사별로 기업의 R&D 수행을 지원할 전담 코디네이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컨소시엄 구성의 추가·변경도 가능하도록 했다.
운영사에 대한 평가와 인센티브 체계도 실질적인 스케일업 지원 실적을 중심으로 개선된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기존에는 운영사로부터 선행 투자를 받아 R&D 또는 지분투자 중에서 지원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으나 올해부터는 R&D를 먼저 수행한 이후 기업의 성장에 맞추어 지분투자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개편된다.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연계 투자 방식을 성과와 연동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제도를 개선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우리금융·서울대, 실무형 AI·빅데이터 전문가 키운다
- 퓨처플레이, 서울대 창업지원단과 학내 딥테크 창업기업 육성 협력
- [데스크칼럼] ‘툴’이 ‘코딩’하는 시대, 앞다퉈 모셔 가던 개발자의 미래는?
- 청년창업 활성화 지원…중기부, 캠퍼스 ‘창업 스프링보드’ 개최
- 중기부, AI 인력정책 점검회의…AI 스타트업·제조기업 인재공급 모색
- ‘대전 스타트업 파크’ 공식 개소…중기부 “과학기술 기반 창업 집중 지원”
- [데스크칼럼] 너도나도 “유니콘 만들겠다!”…이상과 현실 사이
- 과기정통부, 보안 유니콘 육성에 100억원 투입한다
- 경기혁신센터, ‘INNOX 오픈이노베이션 4기’ 스타트업 모집
- 중기부, 기술개발 지원사업 모집 공고…779개 과제 1,179억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