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20일 서울 팁스타운 S1에서 오영주 장관과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과 제조 AI 기업,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활용·확산을 위한 인력정책 방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세계적으로 AI 핵심인재 확보가 기술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글로벌 빅테크는 재직자의 AI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확산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자리는 이에 대한 연장선으로 AI스타트업 및 제조 AI 기업 등에 우수 인재 양성·공급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산업연구원 민순홍 부연구위원은 ‘인공지능 시대의 인재양성 현황과 과제’에 대한 발제를 하고, AI 도입기업의 애로사항 및 인력현황,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AI 정책 전반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AI 프로젝트 기반 학습 도입 등 벤처·스타트업과 대학의 산학협력 강화, 재직자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우수인재 채용 및 근속 유도를 위한 정부지원 방안 등 다양한 정책과제가 논의됐다.
뤼튼테크놀로지스 유영준 이사는 “해외 우수 AI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비자 정책 및 정착 지원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에 대한 인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AI 스타트업에 대한 R&D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클레온 서지호 최고운영책임자는 “AI 인재 순환 프로그램 및 공동 R&D 프로젝트 등을 통한 대기업-스타트업 인재 교류 활성화, 스톡옵션 지원 확대를 통한 스타트업의 보상체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LG AI연구원 김유철 전략부문장은 “AI 인재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성장환경의 조성”이라며 “프로젝트 중심의 실무교육을 통해 재직자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영주 장관은 “AI 대표 스타트업 육성 및 AI기술과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우수한 AI 인재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며 “우수한 인재가 스타트업 및 제조 AI 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유니콘이 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엔비디아, 美 보스턴에 양자컴퓨팅 센터 설립…“하반기 본격 가동”
- KT, 한전·서울대와 전력 특화 AI솔루션 공동 개발·실증
- 구글, 보안 스타트업 ‘위즈’ 인수 재추진…최종 성사여부에 ‘관심’
- 유망 AI스타트업과 협업…신한카드, ‘스타트업 테크블레이즈’ 공모전 성료
- GTC 발표자 나선 젠슨 황 “딥시크 쇼크, 엔비디아에 긍정적”
- ‘대전 스타트업 파크’ 공식 개소…중기부 “과학기술 기반 창업 집중 지원”
- [데스크칼럼] 너도나도 “유니콘 만들겠다!”…이상과 현실 사이
- 정부, 지역 과학기술 혁신에 6조6000억원 투자한다
- 과기정통부, 보안 유니콘 육성에 100억원 투입한다
- 중기부, 지역특화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