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로그인 취약점 개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3일 사용자의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최신 버전 업데이트를 권고했다.
인터넷 브라우저인 크롬 최신 버전은 여러 홈페이지의 로그인 정보를 브라우저에 일괄 저장하고 방문 시 자동으로 로그인 할 수 있는 기능에서 사이버공격에 노출되면 계정 정보가 일시에 유출될 수 있는 취약점을 개선했다.
브라우저 내부에 저장되는 사용자 계정정보의 암호화를 강화해 계정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고 KISA는 설명했다.
KISA는 전세계 브라우저 시장(PC 기준)의 66.16%를 점유하고 있는 크롬의 취약점이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어 구글 본사와 협력, 패치 개발을 추진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보안 패치는 윈도 버전 크롬 브라우저(133버전 이상)에 적용됐으며 브라우저의 자동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설정’의 ‘크롬 정보’ 메뉴를 통해서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관련기사
- 2년 만에 통신사 대규모 해킹 ‘충격’…SKT ‘고객정보’ 털렸다
- 트럼프발 관세전쟁…‘새우등’ 빅테크는 ‘불똥튈까’ 전전긍긍
- GCP, ‘넥스트25’서 AI 혁신 기술 공개
- 크롬 브라우저에서 ‘에이닷’ 사용…SKT, 확장 프로그램 출시
- AWS, CSAP 인증 획득…국내 공공시장 공략 발판 마련
- 과기정통부, 보안 유니콘 육성에 100억원 투입한다
- CJ올리브네트웍스, 취약점 점검관리·진단 솔루션 ‘시큐포탈원’ 출시
- 과기정통부·KISA, 정보보호 산업지원센터 고도화
- SKT, 28일 유심 무료 교체 시작…재고 부족으로 일시적 혼란 예상
- 사이버아크, 업계 최초 머신 아이덴티티 보안 솔루션 공개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