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물리보안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 
테스트 허브로 민간기업에 신규 시설 개방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국내 정보보안제품·물리보안제품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보보호산업지원센터를 고도화한다. 올해 지능형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생체인식체계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시설을 기업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새롭게 개소한 정보보호산업지원센터는 영세 정보보호기업이나 연구기관에게 고성능 시험 장비와 전용 시험 환경, 기술지원, 교육을 제공해 기술과 제품 실험시 발생하는 고가의 비용 절감을 지원했다.

매년 국내 정보보호기업의 약 10%인 약 150여개사가 센터를 이용할 정도로 높은 호응을 받았지만, 한정된 시험 공간과 고가 장비 예약 집중으로 인한 대기시간 증가, 시설 노후화로 이용기업들의 애로가 컸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시험 연구실(테스트랩) 확대(8실→18실)와 시험 장비와 서버 가상화, 고가 시험장비 확대 도입, 노후 환경 개선 등을 골자로 2024년 하반기에 시설 고도화를 집중적으로 추진했다.

정보보안의 경우, 테스트랩을 6실에서 12실로 증설하고 시·공간 제약 없이 많은 기업이 시험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시험 환경을 가상화하는 한편, 가상화 기반의 제품 성능 측정 장비를 추가 도입해 가용성도 확보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정보보호산업지원센터 고도화 [사진=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지원센터 고도화 [사진=과기정통부]

물리보안과 관련해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지능형 CCTV, 생체인식 산업 분야의 실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용 연구실을 증설(2실→ 6실)하고, 지능형 도시(스마트시티)를 재현한 연동실증연구실(통합 온라인 체제 기반 연구개발 지원시설)을 구축해 물리보안 체계간 연동 기술 시험을 적극 뒷받침할 예정이다.

국내기업의 보안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보호 점검 서비스도 확대된다.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안 취약점 진단도구, 소프트웨어 공급망 대응 도구 등을 구비해 제품의 전주기 보안강화 체계를 마련해 제공할 예정으로, 점검 서비스는 국내 정보보호기업 뿐 아니라 다른 분야의 기업도 이용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테스트랩 확대와 시험환경 고도화 작업으로 영세한 정보보호기업의 개발·시험 비용과 소요 기간이 대폭 절감(2023년 기준 70억원→향후 약 105억원)되고, 이용기업 수도 2배 이상 확대(연평균 150여개사→300개사)될 것으로 기대했다. 

과기정통부 강도현 제2차관은 “정보보호산업지원센터는 우리 기업들이 애용하는 시설로 그간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나 시설 노후화로 기업의 애로사항이 컸다”며, “새롭게 단장한 정보보호산업지원센터를 통해 우리 기업이 경쟁력을 제고해 정보보호 거대 유니콘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