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가능성 큰 테크 기업에 1천억원 선제 투자
SK스퀘어가 미국과 일본의 인공지능(AI)·반도체 기업 5곳에 투자를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또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규모의 투자도 준비 중이라고 부연했다.
SK스퀘어에 따르면, 우선 성장성이 큰 미국·일본 기술 기업에 선제적으로 총 1천억원의 투자를 집행한다. SK하이닉스, 신한금융그룹, LIG넥스원 등이 공동 출자에 참여했고 현재까지 5개 기업에 약 200억원을 투자했다.
SK스퀘어는 “이와 별도로 SK하이닉스와 시너지 강화를 염두에 두고 글로벌 AI칩, 인프라 영역에서 유의미한 투자도 준비 중”이라며 “이를 위해 올해만 1조3000억원 이상의 재원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SK스퀘어는 전세계 AI·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가장 앞선 미국·일본의 차세대 기술 기업들을 중심으로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투자 대상은 AI·반도체 산업 내에서 성장잠재력이 큰 독자 기술 및 지적재산권(IP)을 보유한 기업이다.
SK스퀘어와 공동 출자 기업들은 현재까지 약 200억원을 투자해 지분을 확보했다. 투자 기업은 ▲디-매트릭스(미국) ▲테트라멤(미국) ▲아이오코어(일본) ▲링크어스(일본) ▲큐룩스(일본) 등 5개사다.
디-매트릭스는 마이크로소프트(MS), 싱가포르 국영 투자회사 테마섹 등이 주요 주주인 회사로 데이터센터용 AI 추론 칩을 개발하고 있다. 테트라멤은 HP 메모리 핵심 연구진과 디바이스, 아날로그 컴퓨팅 분야 전문가들이 창업한 회사로 전세계 저항메모리(Re램) 기반 AI 칩 개발을 추진 중이다.
아이오코어는 일본 경제산업성 인증 기술연구기관으로부터 IP를 승계해 설립된 기업으로 기존 반도체 구리선 배선을 광자(Photon) 접속 방식으로 대체하는 ‘광통신모듈’을 개발하는 혁신 기업이다.
링크어스는 금속 접합 시 기존 기술 대비 고효율·저손상 접합을 실현하는 초음파 복합진동 접합 장비를, 일본 규슈대학 기반의 벤처기업인 큐룩스는 희귀금속을 사용하지 않고도 긴 수명을 유지하는 고효율·고색순도 유기발광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모두 수년 내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부는 다음 투자 라운드를 추진하고 있어 조기 투자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SK스퀘어는 설명했다.
SK스퀘어는 AI 산업의 주요 병목이 예상되는 칩·인프라 영역에서 SK하이닉스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큰 규모의 투자 기회도 모색 중이다.
AI칩 영역에서는 차세대 AI칩과 패키징 기술, AI서버 병목 해결 솔루션 등을 보유한 기업들을 검토 중이며 AI인프라 영역에서는 서버 간 초고속 통신 기술과 AI데이터센터 솔루션 등에서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 AI·반도체 투자법인(TGC스퀘어)의 대표에 증권업계 반도체 애널리스트 출신 도현우 SK스퀘어 매니징디렉터(MD)를 선임하며 해외 공동투자 네트워크와 딜 파이프라인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올해 무 차입 경영을 이어가며 1조3000억원 이상의 재원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은 “올해 ICT포트폴리오 밸류업과 비핵심자산 유동화에 주력하는 한편 AI·반도체를 중심으로 신규 투자를 착실히 늘려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AI와 인간의 협업시대 ‘개막’…MS “기술과 직원의 역할 경계 재정의”
- 중기부, ‘K-글로벌모펀드’ 조성 첫 단계…싱가포르 현지법인 설립
- [데스크칼럼] 스타트업 투자 시점…‘지금이 적기’ vs ‘그래도 아직은’
- 중기부,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6천억원 규모로 조성
- SK온, 美 EV 스타트업 ‘슬레이트’에 배터리 공급한다
- 혁신 R&D 지원…중기부,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신규과제 발표
- SK스퀘어 자회사 ‘FSK L&S’, 美 ‘배터리 벨트’ 진출
- SKT, 美아이온큐와 파트너십…AI·양자컴퓨터 전략적 제휴
- 자사주 2천억원 소각…SK스퀘어, 기업가치 제고·주주환원 계획 발표
- 사피온·리벨리온 합병 본계약…“올해 합병법인 출범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