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례 컨퍼런스 ‘인텔리전스 데이’, 데이터·AI 기반 혁신사례 공유
데이터브릭스가 29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에서 ‘데이터 인텔리전스 데이’를 열고 지난 회계연도에 한국에서 100% 이상의 성장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한국 시장에서의 연간 100% 이상 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국내 기업의 '데이터 인텔리전스'에 대한 수요 증가를 꼽았다.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활용이 증가하면서 데이터브릭스에 대한 고객 요구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대한항공(KE), BC카드, 라이나생명, AIA생명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데이터브릭스를 활용해 AI 기반 혁신을 구현하고 있다.
강형준 데이터브릭스코리아 지사장은 “한국 기업들은 AI 기반 혁신의 최전선에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기업 AI 도입에서 빠르게 앞서 나아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함께 더 큰 혁신을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데이터브릭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은 고객 데이터와 비즈니스 특성에 맞게 조정된 AI 모델을 결합해 지능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 점이 특징으로, 개방형 데이터 형식과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하는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에 구축돼 고객이 모든 데이터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J제일제당, 한국신용데이터(KCD)은 행사에 참가해 현장에서 참석자들과 데이터브릭스 기반의 혁신 경험을 공유했다.
최희원 CJ제일제당 CIO는 “디지털 전환을 통해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려면 지속적인 혁신과 조직의 변화가 필수”라며 “데이터브릭스를 활용해 전사 차원의 견고한 데이터 기반을 구축해 보다 빠른 데이터 분석과 정교한 의사결정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임정기 KCD CTO는 "한국신용데이터는 데이터브릭스를 활용해 비즈니스 오너와 최종 고객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방식을 혁신했다”며 “데이터브릭스 도입을 통해 운영 비용을 90% 절감하고, 고객은 더 스마트한 금융 결정을 내리고 AI를 활용해 실제 비즈니스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데이터브릭스는 최근 시리즈 J 투자를 포함해 총 150억달러(약 21조5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는 620억달러(약 89조2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결과다.
관련기사
- SAS코리아, 호서대와 AI 인재 양성 협력
- 엔비디아, ‘네모 마이크로서비스’ 정식 출시
- 개인정보위 ‘딥시크 실태점검’…이용자 정보·입력어 해외로 무단 이전
- 딥노이드, 연세대와 의료영상·AI 분야 공동연구 협약
- 기업 대다수 AI에이전트 사용 확대…“개인정보 리스크는 확산 걸림돌”
- 태블로, 차세대 데이터 분석 플랫폼 ‘태블로 넥스트’ 발표
- AI시대, 비정형 데이터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기후위기 주범 꼽히는 ‘인공지능(AI)’…문제 해결책 지닌 ‘양날의 칼’
- 중소 제조기업 AI 활용에 제한…업종 고려한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필요
- 데이터브릭스, 앤트로픽과 파트너십…AI에이전트 구축·배포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