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융합기술원과 공동 개발, 수출입 거래 편의·효율성 제고
하나은행이 9일 금융권 최초로 수출입 자동화를 위한‘「비대면 AI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6월 하나금융그룹 관계사인 하나금융티아이의 사내독립기업(CIC)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과 공동 연구를 통해 자체 개발한 AI-OCR 솔루션 ‘리딧(READIT)’을 수출입 업무에 도입한 바 있다.
하나은행은 “비대면 AI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서비스는 외부 솔루션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금융그룹의 자체 연구 역량과 독자 기술로 개발한 솔루션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지속가능한 AI 기술 활용을 실현하는 환경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 도입으로 수출입 서류의 비정형성·복잡성으로 인해 신용장 전문가에 의존적이던 기존 수출환어음매입 심사 업무를 자동 분류 및 매입 정보 등 신속·정확한 AI 추출을 통해 기존 방식에서 발생했던 오류를 최소화했다고 하나은행은 설명했다.
이를 통해 신용장 비전문가와 기존 수출 주도형 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에 수요가 있는 초기 수출 기업도 쉽게 수출 서류의 하자 여부를 확인하고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하나은행은 기대했다.
이 서비스는 기업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는 본점 심사 대상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우선 적용된다.
하나은행 외환사업지원부 관계자는 “수출 업무 시 자주 발생하는 서류 하자 발생 리스크를 낮추는 차별화된 무역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며, “외환·수출입 업무에 강점을 가진 외국환 1등 은행으로서 고객 중심의 영업문화를 통해 기업의 수출입 거래 편의를 위한 혁신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IBK기업은행, 비대면 연금저축보험 가입 이벤트
- SK스퀘어, 美·日 AI·반도체 기업 5개사에 투자 단행
- ‘군심 잡기’ 나선 하나은행, 군 전용 특화 금융상품 내놨다
- 우리금융, 은행-증권 간 협업 체제로 CIB 경쟁력 강화
- 하나금융·금감원, 미래세대 위한 맞춤형 금융 교육 활성화 ‘맞손’
- [데스크칼럼] 스타트업 투자 시점…‘지금이 적기’ vs ‘그래도 아직은’
- 중기부,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6천억원 규모로 조성
- KB국민은행,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 신청 채널 확대
- 90억원대 암호화폐 비자금 조성 혐의…김상철 한컴 회장 불구속 기소
- IBK기업은행, 서울대발전재단과 기부문화 활성화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