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LLM-국산 NPU로 AI반도체 생태계 자립성 확보
SK텔레콤과 AI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이 국산 AI반도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협력을 가속화한다. 25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양사는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 등 SK텔레콤 주요 AI서비스에 리벨리온의 신경망처리장치(NPU)를 적용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양사는 데이터센터용 AI반도체 ‘아톰(ATOM)’을 탑재한 서버를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 ▲PASS 스팸필터링 ▲PASS금융비서 ▲엑스칼리버 등에 테스트 중으로, 결과에 따라 아톰의 성능이 강화된 대규모 AI 추론용 AI반도체 ‘아톰 맥스(ATOM-Max)’를 이들 서비스에 연내 상용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SK텔레콤은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리벨리온 NPU 서버 도입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이번 AI서비스에 대한 리벨리온 AI반도체 테스트 및 상용화 검토가 국내 AI생태계 자립에 큰 의미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은 SKT의 LLM 모델 에이닷엑스(A.X)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국산 AI반도체인 리벨리온의 아톰을 통해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면 국산 LLM이 국산 NPU를 통해 서비스되는 ‘소버린AI’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양사는 이번 테스트를 시작으로 협력 범위를 지속 확대하면서 국내 AI생태계의 자립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상민 SK텔레콤 성장사업추진실장은 “국가 간 AI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상황에서 국내 AI생태계 자립성 강화는 개별 기업이 아닌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며, “앞으로도 AI데이터센터, LLM, AI반도체 등을 포함한 국내 생태계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국산 AI반도체가 국산 LLM 기반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게 된 것은 기술적 완성도를 넘어 국내 AI생태계 자립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안정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AI인프라를 통해 대한민국이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SKT, 24일 신규 영업 재개…대규모 해킹 사고 발생 두 달만
- “해킹 공격은 혼란이 목적…민·관 협력과 국제적 연대로 대응해야”
- SKT 대규모 해킹 사태에 국민 77% “위약금 면제해야”
- 네이버 D2SF 출범 10년…양상환 센터장 “성장 돕는 교두보 될 것”
- AI 3대 강국 도약…과기정통부, AI 글로벌 컨퍼런스 성료
- 통신3사, 전세계 3대 IT전시회 ‘MWC 2025’서 신기술 알리기 ‘잰걸음’
- SKT ‘K-AI 얼라이언스’, 내달 ‘MWC 2025’ 출전
- 메타, 韓팹리스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 AI반도체·HBM, 생성AI 시대 핵심 성장 동력으로 부상
- 중기부, 日 시장 진출 타진 ‘초격차 스타트업’ 투자유치 지원사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