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가명정보 활용 민관 협력 네트워크’ 성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는 가명 데이터 결합·활용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행사를 열고 향후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2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이번 행사(2025 가명정보 활용 협력 네트워크-Combination Day)는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 결합·활용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보유한 기관들이 참여해 가명정보 활용성과를 공유하고 결합사례를 발굴하는 소통·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NIA는 국내 최초 가명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해 2022년부터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법률·기술·재정 등 가명정보 활용 전 과정에 대한 컨설팅과 결합 지원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행정·정책 개선 및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을 지원해왔다.
이날 행사에 다양한 데이터를 보유·활용하는 100여개 기업·기관 160명이 참여해 데이터 보유 현황을 공유하고 가명정보 결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융합데이터 생산 및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해에는 이동통신, 신용카드 소비, 신용정보, 스포츠 멤버십, 은행정보, 모빌리티 등 다양한 이종 데이터를 결합해 1인 가구 안전관리, 청년 금융 실태 분석, 농업인 가계 현황 분석 등 실질적인 정책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올해는 소상공인을 위한 지역화폐 효과분석, 상권 재편을 위한 관광지 소비분석, 외국인 생활인구 분석 등을 위한 가명정보 결합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추가로 향후 성과 창출이 가능한 활용사례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NIA는 “공공데이터 제공 및 데이터기반행정 평가에 가명정보 제공 실적이 포함되면서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관심이 높았다”며 “데이터 실무 담당자들이 참여한 분과회의에서는 가명정보 결합 기획을 위한 시나리오와 향후 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활발히 이뤄졌다”고 전했다.
NIA는 참여 기관을 대상으로 가명정보 결합 기획 및 컨설팅, 결합 프로세스 및 기술 지원, 분석 결과 제공 및 정책 제언, 언론 홍보 등 다양한 실무 지원을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가명정보 활용은 잠자고 있는 데이터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어 사회적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혁신의 핵심”이라며, “NIA는 공공과 민관의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결합돼 국민 생활 개선과 정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NIA, 2025년 데이터 결합·활용 지원 사업 본격화
- 네이버페이, 한국신용정보원·NICE평가정보와 금융 데이터 활용 ‘맞손’
- 딥페이크 악용 콘텐츠, 당사자 요구로 삭제 가능해진다
- 과기정통부·개인정보위, ‘가명정보 활용 경진대회’ 공동 개최
- NIA, “가명정보 활용으로 사회 현안 해결”
- NIA, “민·관 협력 기반 데이터 가명결합으로 국민편익 증진”
- 삼성SDS, 데이터전문기관 선정…SCP에 결합전문시스템 구현
- 신한카드, 데이터전문기관 본지정…데이터 사업 라인업 확장
- IBK기업은행, 해외결제 특화 ‘B-GLOBAL(체크)’ 카드 출시
- 올해 상반기 디지털 마케팅 시장 키워드는 ‘인플루언서’·‘AI에이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