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재위·특허청 연구 보고서, 가업공개 엑싯 가능성 2배 증가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는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은 최대 17.1배, 기업공개(IPO) 또는 인수합병(M&A) 가능성도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특허청은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수행한 ‘스타트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99년~2025년 동안 2,615개 스타트업의 투자 정보와 특허·상표 출원 데이터를 분석해 지식재산(IP) 활동이 스타트업의 자금조달과 엑싯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면 자금조달 가능성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소 1.7배 높았다.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가능성이 시드단계에서 1.7배, 초기단계(시리즈A~B)에서 3.1배, 후기단계(시리즈C~)에서는 최대 6.3배까지 후기단계로 갈수록 점차 증가했다. 후기단계에서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국내에서 해외까지 확대하는 경우에는 자금조달 가능성이 7.1배까지 커졌다.
스타트업이 확보하려고 하는 지식재산의 종류도 자금조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단계에서 특허 출원과 상표 출원 활동을 함께 선행하는 경우에는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9배까지 높아졌다.
아울러 특허·상표 출원 규모가 자금조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단계에서 특허·상표를 20건 이상 출원하는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무려 17.1배까지 상승했다.
신생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는 경우 투자금을 회수하는 기업 공개 또는 엑싯 가능성도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특허·상표를 20건 이상 출원하는 경우에는 기업 공개 또는 엑싯 가능성이 최대 5.9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은 “미국·유럽처럼 국내에서도 지식재산이 스타트업에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된 만큼 정부도 자금뿐만 아니라 지식재산전략을 함께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완기 특허청장도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스타트업의 지식재산 정보가 외부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지식재산권을 통해 혁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유치 등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세미파이브,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신청…IPO 절차 본격화
- 우버, 루시드에 3억 달러 투자…“로보택시에 루시드 SUV 도입”
- 서울 AI허브, AI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사업’ 본격 시동
- LG전자,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스튜디오341’ 시즌2 시동
- 국내 벤처 3대 단체, 민간 주도 ‘생태계 확장’ 협력 방안 논의
- [데스크칼럼] 올해 상반기 투자 흐름이 말해주는 스타트업 환경 변화
- 지재위, 기술유출 피해 권리구제 강화 추진
- 글로벌 벤처캐피탈(VC) 자금 쓸어담는 AI…투자 쏠림현상 심화
- S2W,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하반기 IPO ‘청신호’
- 지재위, 인공지능(AI)·지식재산(IP) 보고서 발간